도시 및 공장 인프라, 국가 기간 시설 등 사물인터넷(IoT)의 적용 범위가 나날이 확대되면서, 각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망연계 시장도 고속 성장하고 있다.
망연계는 인터넷 연결이 차단된 폐쇄망과, 그렇지 않은 인터넷망으로 망분리가 적용된 시스템에서 필요 시 망 간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때문에 망분리가 일괄 적용돼 있는 공공, 금융 분야 등에 망연계 솔루션이 주로 채택돼왔다.
이처럼 망연계 솔루션을 보안에 극히 민감한 환경에서 보조 시스템으로 구축되는 경우가 주를 이뤘다면, 최근에는 각종 '스마트' 시스템이 도입되는 과정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그 동안 외부 인터넷망과 연결돼 있지 않았던 주택·교통·도시 인프라 등에 IoT를 도입해 편의성을 높이는 시도가 이뤄지면서 자연히 망연계 솔루션 보급도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28일 정부, IT 업계에 따르면 재난·재해 대응, 지능형교통체계(ITS) 등에 대한 망연계 솔루션 구축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자체-경찰-소방 망연계로 폭우 피해 예방…전국 단위로 추진
정부는 도시 문제를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을 지난 2018년부터 점진적으로 보급하고 있다. 작년 기준 59개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도입했다.
해당 플랫폼은 방범, 재난 등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지자체 정보 시스템들을 중앙기관 정보망과 연계해 지능형 도시 안전망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찰망, 소방망, 통합관제망 등의 연계가 전제 조건이다. 여기에 실시간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망연계 기술이 탑재되고 있다.
특히 매년 속출하는 폭우 피해를 막기 위한 교통 인프라 구축이 한창이다. 행정안전부는 둔치주차장 주차 차량에 침수 위험 안내 메시지를 차주에게 자동 발송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예산 113억원을 편성하고, 내년까지 전국 둔치주차장 180개소에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해당 시스템에는 차량번호 인식기와 차단기, CCTV, 문자 전광판 등이 활용되며 각 지자체 소속의 주차장 시스템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망연계 솔루션을 거쳐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의무보험 가입관리 전산망을 통해 차주에게 전달된다.
지하 차도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술 도입도 추진된다. 정부는 작년 8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개선대책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침수 우려가 있는 지하 차도 145개소에 대해 원격으로 차도를 통제할 수 있는 시설이 구축될 예정이다. 초음파수위계, CCTV 등 원격 감시 기술로 수집된 정보를 토대로 전광판, 비상 사이렌, 차량 진입 차단기를 작동시키는 식이다. 수집된 데이터는 중앙 및 지자체 재난상황실과 경찰서, 소방서 등으로 전송되고 이 과정에서 망연계 솔루션이 활용될 전망이다.
전국 국가하천 수문을 수위에 따라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도 구축하고, 여기에도 망연계 기술이 반영된다.
그간 수문 개폐를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직원과 마을 이장들이 경험적으로 조작해왔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크고 작은 침수 피해가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oT 기반 자동수위계와 CCTV 등을 설치하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월 이 시스템을 적용할 우선 사업 선정지 14곳을 발표하고 각 지자체가 지방하천 내 수문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독려 중이다.
망연계 솔루션 업체인 한싹 관계자는 “강우량계나 계측기 등을 통해 현장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행정망으로 들어오는데, 이때 외부에서 들어오는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망연계 솔루션을 구축한다”며 “현재 약 2천500여 곳이 위험 지역으로 분류되어 있어 조기 경보 시스템 도입 사업은 앞으로도 더 생겨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홈'도 보안 필요"...망연계 신시장 창출될까
실내외 기기 및 환경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홈'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정부는 이에 대한 보안 규정을 준비 중이다. 이에 대해서도 망분리를 비롯한 망연계 시장이 창출될 수 있을지 기대감이 존재한다.
특히 공동 주택 월패드에 망분리를 도입하는 방안을 두고 갑론을박이 나타나고 있다.월패드는 실내외 기기·환경을 조절하는 시스템으로 집안의 가전과 조명, 온도 제어 및 CCTV 확인 등 주요 홈IoT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월패드가 연결돼 있는 네트워크를 여러 가구가 공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특정 가구가 해킹될 경우 해킹 피해 확산이 용이하다는 우려가 제기돼왔다.
스마트홈 서비스, 기기 등을 제공하는 업체들 중심의 스마트홈산업협회는 망분리 의무화가 과도하다는 의견을 강력히 피력하고 있다. 반면, 정부 및 보안업계는 해킹 위협을 막기 위한 보안 강화책 도입 필요성을 주장하는 상황이다. 정부는 30가구 이상 공동주택에 망분리를 의무화하는 정책안을 마련했으나, 산업계 반대에 최근 정책안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협회에서 공동주택의 월패드 망분리 의무화에 대한 강한 반대 의견을 제시해 전문가 의견을 재수렴하려 한다"며 "다른 보안 강화 방안도 검토해보고, 망분리 도입이 필수적이라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면 의무 도입 재추진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주거공간에 스마트 IoT 로봇 바람2021.08.23
- 정부, 지능형 IoT 서비스 7대 집중개발...140억원 투입2021.07.26
- 보안 원칙 없는 금융 망분리 정책 ‘갑론을박’2021.06.29
- IoT 보안 인증 분야별 기기 특성에 따라 차등 적용키로2021.01.05
보안업계는 우리나라 주거 환경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 중심으로 이뤄진 것을 고려할 때 다수 가구의 보안 위협을 막고, 단기간 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건축 단계부터 의무화 적용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한싹 관계자는 “우리나라처럼 초고속 인터넷망으로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고, 대규모 아파트 중심의 공동주택으로 이뤄진 주거 환경을 고려할 때 홈 IoT 구현에 보안은 필수적인 요소”라며 “홈 IoT 보안규정이 시행되면 전국 아파트단지에 망분리와 더불어 망연계 사업도 확대될 것이라 신시장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