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 6022곳 ESG 평균 점수 52점

중진공, 정책 자금 받은 곳 대상 조사...전년보다 6.7점 높아져

중기/스타트업입력 :2021/09/24 09:32

중소벤처기업 현장에서 ESG 경영이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중진공, 이사장 김학도)이 2019년과 2020년 정책자금을 지원한 업체 중 6022곳을 대상으로 ESG 성과지표를 분석한 결과, 전체 ESG 점수가 2019년 45.3점에서 2020년 52.0점으로 6.7점(14.8%)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분야별 점수는 지배구조(G)가 68.8점으로 가장 높았고 사회(S) 47.6점, 환경(E) 39.7점으로 조사됐다. 환경 분야는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2019년 대비 증감률은 다른 분야보다 높았다.

세부 지표를 보면, 윤리경영(96.4점)과 소유구조 안정성(88.0점), 노동권·인권보장(81.9점)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반면 지역사회 기여(17.9점), 공급업체 협력 (36.5점), 환경경영 활동(39.7점), 고용창출(40.5점), 재무공시(49.1점) 등의 지표는 전체 평균(52.0점) 보다 낮았다.

또 고용의 기회균등(20.6점)과 윤리경영(대표자 신뢰성) (20.1점) 등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산업보건 및 안전(-5.9점)과 소유구조 안정성(-1.8점) 점수는 하락했다. 이는 산업보건 및 안전 등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 것을 시사한다고 중진공은 분석했다.

한편 중진공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소벤처기업 ESG 대응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ESG 경영 도입 진단과 맞춤형 정책 연계지원을 통한 대응역량 강화 ▷지자체와 대·중소기업간 ESG 상생협력과 中企 ESG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한 ESG 경영저변 확대 ▷중소벤처기업 ESG 경영매뉴얼 제작과 자가진단 시스템 도입을 통한 ESG 인식제고 등에 나설 예정이다.

김학도 이사장은 "중진공은 2019년부터 정책자금 지원기업 평가시 환경‧사회‧지배구조 등 정책목적성 항목을 도입해 운영 중”이라면서 “이번 성과지표 분석을 통해 기업들이 취약한 ESG 분야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중진공은 앞으로 중소벤처기업의 ESG 인식제고와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적인 뒷받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