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 대상 아동 10명 중 4명은 아동학대를 받아 보호 조치 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용호 의원(전북 남원·임실·순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보호 대상 아동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보호 대상 아동 수는 2018년 3천918명, 2019년 4천47명, 2020년 4천120명 등 매년 증가했다.
보호 조치 발생 원인별로 살펴보면, 아동학대가 4천666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부모이혼 등(2천178명) ▲미혼부모·혼외자(1천550명) ▲비행·가출·부랑(1천172명) ▲부모 사망(860명) ▲아동 유기(729명) ▲부모 빈곤·실직(644명) ▲부모 질병(249명) ▲미아(37명) 순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대별 보호 대상 아동은, 만7세 미만인 미취학 아동이 38.9%(4천703명)로 가장 많았고, 만13세~만19세 31.5%(3천808명), 만7세~만13세는 29.5%(3천574명)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여기어때, 복지 시설 거주 아이들 지원한다2021.08.30
- "부모, 어린이집 CCTV 열람 가능" 가이드라인 개정2021.04.14
- 아동학대 의심 시 어린이집 CCTV 원본 열람 가능2021.03.02
- 구글, ‘가림처리’ 국내 위성사진 구매 검토…업계 "면밀히 살펴야"2025.08.05
이용호 의원은 “올해 발생했던 정인이 사건, 구미 3세 여아 사건 등으로 국민적 공분이 가라앉지 않은 상황에서, 아동에 대한 학대 실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국가와 지자체의 가장 큰 책무는 아동이 정신적·신체적으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사회적 책임을 대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실제 아동을 학대하거나 유기하는 등 부모의 폭력과 무책임으로 발생한 비율이 전체의 절반에 가깝고 그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전 점검 등 예방대책이 시급하다”며 “문제가 있는 가정에서 아동을 구제하는 일시적 방법보다는, 안전한 공간에서 아동이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아동보호 시설 증설과 위탁·입양 가정 보호 등을 위한 국가 차원의 관심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