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디지털 트윈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3D 객체 데이터 5만 건을 구축키로 했다.
6일 임혜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주재한 14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이같은 정책 목표를 세운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을 의결했다.
실제 사물의 특징을 동일하게 반영한 3D 모델을 뜻하는 디지털 트윈은 한국판 뉴딜 10대 대표과제와 한국판 뉴딜 2.0의 디지털 초혁신 프로젝트 과제에 포함된 기술이다.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비용과 기간을 단축하고 위험 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다.
특히 주요 국가들은 이를 미래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기술로 선정하여 구체적 성장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흐름에 맞춰 국내 디지털 트윈 관련 산업과 시장의 활성화 전략을 세우기 위해 업계 논의를 거쳐 추진 방향을 도출했다.
■ 디지털 트윈 성장기반 조성...5만 3D 객체 구축
디지털 트윈 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관련 데이터가 가장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공공과 민간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3D 객체 제작을 지원키로 했다. 수요분야와 공급기업을 선정해 총 100종 5만건을 구축하는게 목표다.
이같이 구축한 3D 객체 데이터는 AI허브를 통해 기존 사업에서 구축한 트윈 데이터 5천여건과 함께 내년부터 개방될 예정이다.
공학요소 적용이 필요한 시뮬레이션의 SaaS 개발을 지원하고, 국내외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한 연동과 실증을 추진한다.
아울러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차 등의 발달로 증가하는 공간정보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국내 주요 지역을 대상으로 지형과 지하공간 등의 고품질 3D 공간정보를 구축한다.
■ 선도 시장 창출 + 표준화 정비
제조, 물류, 의료 등 주요 산업별로 디지털 트윈 서비스를 적용해 생산과 운영의 효율화를 추진한다.
대표적인 사례로 소부장 기업의 제조공정에 디지털 트윈을 도입해 효울적인 공정 과정을 위한 시뮬레이션을 운영하거나 항만물류를 위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마련하는 식이다.
홍수와 같은 각종 재난피해와 산업 현장의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 기반의 안전관리 시스템도 도입한다. 탄소배출의 주 원인인 건물 운영과 도시 내 교통 운송 효율도 함께 개선한다.
선진국 대비 기술 격차를 줄이는 방안도 주요 과제로 꼽힌다. 국내 기술 수준은 선도국의 82.3% 가량으로 약 1.4년 뒤처진 것으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미래 응용 기술을 조기에 선점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 연구개발 로드맵을 수립한다.
이와 함께 민간의 신산업 수요를 반영할 수 있는 미래 핵심기술 개발 및 다부처 협력 중대형 R&D 과제를 발굴한다.
디지털 트윈의 체계적 활성화를 위한 용어, 모델, 평가지표 등 기반 요소의 표준화와도 진행한다.
관련기사
- [기고] ‘디지털 트윈’으로 사물인터넷 영향력 강화2021.04.26
- 범정부 디지털 뉴딜반 회의, 디지털 트윈 집중점검2021.04.08
- '디지털 트윈국토' 방안 마련...가로등·맨홀까지 지도로 표현2020.10.12
- 달리는 차 충전하는 도로 나온다…정부 ‘도로 기술개발 전략안’ 수립2019.10.18
공간정보 등 디지털 트윈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인 데이터 공유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표준을 수립하고, 공개제한 데이터의 활용을 촉진할 수 있는 규제 완화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디지털 트윈 관련 기업 100개 전환과 선도국 대비 기술상대수준 95%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