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규 산업자원부 차관은 26일 “원전·전력·가스 등 에너지 핵심 기반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은 단 한 번의 해킹사고로도 국민 생활에 막대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사이버보안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했다.
박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산업부 소관 40개 공공기관 사이버보안 총괄 책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기관 사이버보안 대응태세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해외 에너지 인프라를 인질로 삼거나 국내 핵심기술을 탈취하려는 등의 사이버공격이 지속 발생하고 있고 국가기반시설에 대한 사이버공격은 경제적 피해는 물론 사회 혼란과 국가안보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최근 국내외에서 랜섬웨어 등 사이버공격이 지속 발생함에 따라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과 사이버 위협 동향을 공유하고 각 기관별 사이버보안 대응태세를 점검하기 위해 개최했다. 회의는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 영상회의 방식으로 진행했다.
관련기사
- 산업부 사이버안전센터, ‘정보보호 분야의 UN’ 회원됐다2019.12.18
- ADT캡스, '한수원' 보안 컨설팅 맡는다2021.05.18
- 5년간 한수원 해킹 500여건..."보안 인력 부족"2019.10.07
- 한전KDN "무료 보안컨설팅으로 中企 사이버피해 차단"2020.10.16
박 차관은 “최근 국내 연구기관, 방산업체에서 발생한 가상사설망(VPN) 해킹 공격은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환경에서 살아가야 하는 우리 모두에게 위협이 되고 있다”며 “각 기관에서는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 시 사무실에서와 같은 수준의 사이버보안을 유지하고 코로나 확산세가 거세짐에 따라 코로나 확산 방지와 여름철 전력수요 절감을 위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여름철 휴가 분산을 적극 실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박 차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을 총괄하고 있는 ‘산업통상자원 사이버안전센터’를 방문, 최근 보안 이슈로 부각된 VPN 관제 상황을 점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