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에서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화이자 백신 교차접종 결과, 높은 수준의 효능이 확인됐다. 국내 연구진은 교차접종에 따른 중증 이상반응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각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효능은 일부 감소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립감염병연구소는 수도권 10개 의료기관 소속 499명의 의료인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비교 대상은 ▲AZ백신 동일접종 199명 ▲화이자 백신 동일접종 200명 ▲1차 AZ-2차 화이자 교차접종 100명 등이다.
연구진은 각각의 ▲중화항체가 ▲변이주에 대한 중화능 ▲이상반응 등을 분석했다. 중화항체란, 바이러스 감염을 중화시켜 예방효과를 유도하는 항체를 말하며, 중화능은 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능력이다.

그 결과, 1차 접종 후 중화항체 생성률은 AZ백신 접종군에서 96%, 화이자 접종군에서 99%였고, 2회 접종 시 동일 백신 접종군과 교차 접종군 모두에서 100% 중화항체가 생성됐다.
특히 교차 접종군은 중화항체가가 AZ백신 2회 접종군에 비해 6배 높았고, 화이자 접종군과는 유사했다.
또 변이바이러스 중화능 비교 분석 결과, 교차 접종군과 동일백신 접종군 모두에서 알파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능은 감소하지 않았다. 베타·감마·델타 변이에 대한 중화능은 2.5배~6.0배 감소했다.
이와함께 AZ백신 접종자의 이상반응은 2차 접종 시 1차 접종 시보다 더 적었고, 화이자 백신 접종자의 경우, 1차 접종 때보다 2차 접종 후에 더 많았다. 교차 접종군에서 2차 화이자 접종 시 발생한 이상반응은 AZ백신 동일접종 2회 접종군 보다 많았다. 화이자 백신 동일접종 2회 접종군과는 유사했다.
관련기사
- 오늘부터 55~59세 화이자·모더나 백신 접종 시작2021.07.26
- 1차 AZ·2차 화이자 접종하면 델타 변이 예방 효과 있어2021.07.15
- 네이버, 댓글 조작 막는다…"비정상 댓글 급증시 알림"2025.04.18
- ‘반려견 환영’이라더니…"입장기준 알기도 어렵고 제각각"2025.04.18
백신 접종 후에도 코로나19에 감염되는 이른바 ‘돌파감염’과 관련해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은 26일 질병청 정례브리핑에서 “중화항체가 생성되지만 역가가 낮으면 돌파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며 “(변이바이러스에 대해) 중화능이 떨어졌다는 것과 돌파감염에 취약해졌다는 것은 중화항체 역가가 떨어져 있다면, 그만큼 방어력이 감소할 가능성은 더 많고 돌파감염에도 조금 더 취약할 수 있겠다고 추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백 이사장은 “면역은 중화항체뿐만 아니라 세포면역이 같이 관여하기 때문에 중화항체 하나만 가지고 방어력이 충분하다, 불충분하다고 평가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