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분산에너지' 확산 채비…공공 주도 ESS 구축한다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 발표…'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등 논의

디지털경제입력 :2021/06/30 14:30    수정: 2021/06/30 16:27

정부가 저탄소에너지 생산·소비·거래를 위한 분산에너지 체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공공 주도 에너지저장장치(ESS)와 재생에너지 통합 관제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제도 정비와 실증에도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오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개최한 '제23차 에너지위원회'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분산에너지 활성화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30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23차 에너지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분산에너지는 중소 규모의 재생에너지와 열병합 발전 등 에너지 사용지역 인근에서 생산·소비하는 에너지다.

산업부는 지난 2019년 6월 발표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 재생에너지·집단에너지 등 분산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40년까지 30%로 확대키로 했다. 또 지난해 12월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선 분산전원에 대한 보상체계를 마련하고, 분산자원 활성화 기반을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산업부는 계통의 분산에너지 수용능력 강화를 위해 공공 주도 ESS를 설치하고, 재생에너지 통합 관제시스템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P2H(Power to Heat)·P2G(Power to Gas) 등 신규 유연성 자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에너지 생산·소비 분산화를 위해 분산편익 지원 제도도 도입한다. 대규모 전력 수요의 지역 분산 유도, 재생에너지 자가발전 유도, 지역단위 마이크로그리드 기반도 구축한다.

분산에너지 친화 전력시장 구축을 위해 재생에너지 예측·입찰제도·실시간·보조서비스 시장도 도입한다. 통합발전소(VPP) 제도 구축과 배전계통 운영 제도도 마련할 예정이다.

분산에너지 특구를 지정해 VPP·배전망 운영자(DSO) 등 관련 제도도 실증한다. 개선사항을 발굴해 분산에너지 체제의 확산을 추진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제정에도 박차를 가한다.

제23차 에너지위원회가 30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렸다.

이날 에너지위원회 회의는 문승욱 산업부 장관의 취임 후 처음 개최됐다.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탄소중립은 기존 산업의 축소라는 수동적, 부정적 인식으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며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라는 긍정적, 미래지향적 관점에서 검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이어 "현재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시스템을 재생에너지·수소 등 청정에너지 중심으로 과감히 바꿔나가야 한다"며 "전력망 인프라의 획기적 확충, 재생에너지 변동성 극복을 위한 최적의 전원 구성 확보, 전력-가스-열 부문 간 통합관리 시스템, 탄소 포집·활용(CCUS) 기술 확보, 그린수소 상용화 등 핵심 정책과제를 지금부터 착실히 준비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

문 장관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한계돌파형 기술개발 추진과 함께, 저탄소 자원이 에너지시스템에 보다 많이 수용될 수 있도록 규제완화와 에너지시장 제도개선도 적극 검토해 나갈 것"이라며 "연말까지 '탄소중립 에너지혁신 전략'을 수립해 이를 구체화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