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주도 빅데이터 플랫폼에 '식별번호' 제도 검토

국제 표준 따르고 광범위한 사용성 특징

방송/통신입력 :2021/06/11 16:43    수정: 2021/06/11 16:53

민·관이 협력해 구축한 일부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에 '식별번호'가 매겨진다.

앞으로 지속적으로 생산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의 유통·연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과기정통부는 11일 열린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23차 전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관 협력 기반 데이터 플랫폼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객체식별자 체계

객체식별자(OID)는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가 공동으로 개발한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한 식별체계다.

정부는 현재 운영 중인 16개 빅데이터 플랫폼을 포함해 2025년까지 총 25개의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며, 이중 일부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에 OID를 시범 적용하기로 했다.

또한 데이터 식별체계 운영방안 및 시스템도 단계적으로 구성한다.

향후에 개인도 데이터를 생산하고 유통하게 될 것을 예상해, 국가·공공기관 및 기업뿐 아니라 개인에 대한 해당 코드자원 배정도 검토한다.

관련기사

OID는 모든 데이터를 객체화 해 중복되지 않고 유일한 교유번호를 할당하기 위해 ‘나무(트리)’ 형태의 계층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트리에 따라 0,1,2 등 크게 세 가지 갈래로 나뉘어 식별자가 도출된다. 0은 ITU-T가, 1은 ISO가, 2는 ISO와 ITU-T가 공동으로 관리한다.

OID 외에도 정부는 오류추정 데이터 추출, 오류 항목 및 유형 식별·분석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시행할 예정이다. 비정형데이터의 품질관리 방법도 개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