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챗·알리페이로 진단·처방…진화하는 中원격의료

코로나19 계기 정책 인센티브, 온라인 병원·약국 확대 가속화

헬스케어입력 :2021/05/13 10:43    수정: 2021/05/13 10:44

중국이 코로나19 유행을 계기로 의료기관과·약국의 온라인화 등 빠르게 원격의료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중국의 의료체계는 지역 보건소와 동네병원 등 1차 진료기관과 전국 2천300여개의 대형병원으로 이원화돼 있다. 1차 기관은 환자 모집이 어려운 반면, 대형병원에 환자쏠림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런 불균형 해소를 위해 원격의료 등 디지털 헬스케어 확대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중국사회에서 대두돼 왔다. 코로나19는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중국은 2019년 말부터 여러 법·제도 개선을 통해 인터넷 병원·약국 확대를 촉진시켰다. 사진은 중국 최대 의료 플랫폼인 ‘핑안굿닥터’(Ping An Good Doctor)의 이용 모습. (사진=핑안굿닥터 유튜브 캡쳐)

중국 보건당국은 코로나19 감염 확산과 인구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인터넷 기반 의료서비스로 눈을 돌렸다. 2019년 국가의료보장국(NHSA)은 ‘전자의료보험시스템’을 출범, 인터넷 기반 의료서비스가 의료보험에 포괄되도록 결정했다.

그해 8월부터는 위챗이나 알리페이를 통해 별도의 보험증이 없이도 병원으로부터 진단 및 처방을 받을 수 있게 제도 개선이 이뤄졌다. 같은 달 병원·의사·간호사에 대한 전자면허증 및 인증서 발급도 시작됐다.

중국 국가건강위원회(NHC)도 각 성이 독자적인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어 개별 온라인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감독·규제토록 했다. 이러한 법·제도 개선은 인터넷 병원·약국 확대에 촉매제가 됐다.

시장조사 기관인 S&P 글로벌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18년 1억5천만 명의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던 중국 최대 의료 플랫폼 ‘핑안굿닥터’(Ping An Good Doctor)는 2019년 12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신규 사용자와 온라인 자문서비스는 각각 900%, 800% 증가했다.

중국의 빠른 원격의료 추진은 코로나19 대유행 초기 의료서비스가 마비됐던 쓰라린 경험과 관련이 깊다. 앞으로 원격의료는 중국 의료시스템의 한 영역으로 자리 잡으리란 전망에 이견은 없어 보인다.

세계경제포럼(WEF)은 원격의료의 장애요인으로 ▲기존 기술 관성 및 혁신 저항 ▲보험 급여 지급 이슈 ▲규제·데이터 환경 개선 미흡 ▲기술 활용 부진 ▲환자 권한 및 국민 인식 저조 등을 꼽는다.

관련기사

WEF는 원격의료가 앞으로 헬스케어 산업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전망한다. 또 시행과 보급에 있어 정부·기술기업·헬스케어 서비스 공급자들이 장애요인 해소를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그리고 이 지적은 우리나라의 디지털 헬스케어 추진 방향에도 적용될 수 있다. 

앞선 중국의 제도 개선 방식은 우리 실정과는 다르다. 중국 특유의 상명하달식 추진 방식도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적 합의 도출을 추구하는 우리 방식과는 상이하다. 그럼에도 디지털 헬스케어 시스템 안착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향만큼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