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발전, 블루수소 생산기술 개발 착수

CO2 포집기술과 연계…경제·환경성 확보해 국산화 선도

디지털경제입력 :2021/05/03 17:18

서부발전이 깨끗하고 안정적인 수소에너지 기술을 확보키 위해 석유 코크스를 활용한 블루수소 생산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한국서부발전은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고등기술연구원과 함께 2025년까지 '석유코크스 활용 수소생산 실용화 기술'을 개발한다고 3일 밝혔다. 개발 이후엔 수소기술 국산화를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서부발전은 블루수소 생산을 위해 핵심 단위공정 기술인 합성가스 고도정제 기술과 수성가스전환 공정기술 개발에 착수했다. 실증플랜트 운영을 통한 트랙레코드(track-record)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전략도 수립했다.

한국서부발전 본사 전경

석유 코크스는 정유공정에서 생산된 부산물로 산업용 보일러에 사용하는 연료다. 국내에선 연간 130만톤이 생산된다. 석유 코크스를 직접 연소하는 대신, 고온고압 상태에서 가스화하면 블루수소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서부발전은 국내 유일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을 통해 가스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를 보유했다. IGCC는 지난 3월 세계 최장 운전시간을 넘어 5천 시간 이상 운전했다.

관련기사

석유코크스를 활용한 수소생산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면 하루 약 3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플라스틱 등 생활폐기물 가스화를 통한 수소생산에도 활용 가능해, 쓰레기 해결과 폐기물 자원화 등 에너지 선순환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서부발전 관계자는 "해양수산부와 해양 미생물을 활용한 바이오수소 생산기술 실증에도 성공해 조만간 상용화 프로젝트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새만금 그린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통해 수소 에너지전환을 달성하는 '2050 넷제로(Net-zero)' 실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