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이 미래 제조경쟁력…신재생에너지 공급망 구축 시급

무협,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 보고서 발간…전력 인프라 개선해야

디지털경제입력 :2021/04/11 19:01

탄소규제가 각국의 미래 제조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탄소중립 패러다임에 대응하고 관련 산업 주도권 경쟁을 위한 정부와 산업계 노력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박천일)은 보고서 ‘주요국 탄소중립 정책과 시사점: 제조경쟁력의 지형이 바뀐다’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가속한 선진국이 값싼 신재생에너지를 경쟁력 제고 수단으로 활용하면서 글로벌 제조경쟁력에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충주댐 수상태양광

보고서에 따르면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은 아시아가 미국이나 유럽 보다 평균 20% 많다. 석탄 화력 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미래 핵심 산업인 전기자동차에 전주기(life-cycle) 탄소규제가 도입되면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선진국으로 배터리 공급망 이전 압력이 커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보고서는 “주요국 탄소규제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선진국은 값싼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제조경쟁력을 높이고 있다”면서 “한국은 제조업 전력사용 비중이 48%로 크고 신재생에너지 전력 요금이 비싸 탄소중립 체제로 전환하면 제조경쟁력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탄소 국경세 도입, 사용 전력을 100%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RE100 캠페인,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 등 분위기도 아시아 제조 강국의 경쟁력을 약화하고 있다. 글로벌 기업의 탄소중립 선언으로 글로벌 공급망에 속해 있는 아시아 협력 업체에도 탄소중립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제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 투자를 확대하는 등 전원의 탈탄소화를 단계적으로 실현하고 제조기업이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에서 전력을 구매(제3자 PPA)하거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 2월 서울 삼성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제1차 그린철강위원회'에 참석해 참석자들과 탄소중립 공동선언문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 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뉴시스)

이어 “재생전원 발전과 더불어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전력 인프라와 탈탄소·저탄소 기술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면서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보완하기 위해 저렴한 그린수소를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한편, 친환경 기술 연구개발(R&D)을 범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귀일 전략시장연구실 연구위원은 “주요국은 탄소중립 패러다임 전환 요구와 코로나19 저성장 위기 극복을 위해 저탄소·친환경 분야를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선점우위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도 제품 전주기 탄소배출량을 점검하고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등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