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특별한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한 내년 초에 국산 백신 접종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최기영 장관은 이날 과기정통부 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 간담회를 톨해 “계속 해외 개발 백신에 의존할 수 없는 상황으로, 그런 의미에서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주 범정부 차원에서 내년에 국산 코로나 백신을 개발하겠다고 밝힌 후 보다 구체적인 시기를 지목한 것이다. 다만, 개발 과정에서 여러 변수에 따라 장담할 수 없다는 단서를 달았다.
최 장관은 “내년 초라고 얘기한 것은 1상 이상으로 해서 나와 있는 게 있고 제약사 일정에 의하면 올해 말까지 3상 (완료)돼 내년 초에는 (관련 승인 허가를) 신청해 제품이 나올 수 있겠다 하는 로드맵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개발 과정이) 하반기엔 어떤 상황이 될지 모르고, 감염이 줄어들면 3상 임상도 어려워지는데 그러면서 뜻하지 않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면서 “그런 여러 상황 때문에 장담할 수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기영 장관은 특히 “코로나 변이도 마찬가지지만 또 다른 감염병 상황이 계속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해외 개발 제품에 의존하지 않고) 백신과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갖추는 것이 절실하다”면서 “이를 위해 끝까지 백신 치료제 개발을 지원해 나가겠다는 것이 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백신 종류별 개발 현황에 대해 최 장관은 “우리나라에는 DNA 백신 연구하는 회사가 두 곳 있어 우리는 그쪽을 보고 있고, 항온합성백신(제약사)은 몇 곳 있다”며 “mRNA 백신(연구 제약사)는 아직 없고, 전달체 백신(제약사)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mRNA 백신의 경우 우리가 연구를 해야 할 단계이므로 시간이 좀 많이 걸릴 것 같다”면서 “다른 백신 임상이 빨리 진행돼 성공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초면 되지 않을까 싶은데, 임상3상을 거쳐야 해서 쉽진 않은 것”이라고 부연했다.
함께 자리한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30여년간 현장에서 신약개발을 종사했던 입장에서 2년 전으로 시계를 되돌리고 한국에서 바이러스 백신 개발과 보급까지 완료하라고 생각한다면 가능할까 생각을 해봤다”고 운을 뗐다.
이어,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해 백신을 허가받은 나라는 5개 국가 뿐이고, 아스트라제네카를 포함하면 스웨덴도 있지만 코로나 백신을 개발한 선진국은 미국과 영국 뿐이다”며 “제약분야 선진국인 독일, 스위스, 프랑스, 일본에서도 백신 개발을 못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나라는 굉장히 어려운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수 본부장은 또 “진단키트로 (코로나) 초기 대응을 잘한 것은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로 겪은 바가 있었기 때문이다”며 “아쉬운 점은 메르스 때도 백신 개발이 검토됐는데 끝까지 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한편, 국내 제약사들의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현황에 대해서는 전임상, 임상2상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서정진 셀트리온 "기술주권 위해 백신 사업 뛰어들 수 있다"2021.02.18
- 식약처,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 첫 출하승인2021.02.17
- 정부, 화이자 백신 300만명분 추가 확보…노바백스 백신 구매 계약2021.02.16
- ‘코로나 백신’ 접종 증명하는 디지털 여권 시대 올까2021.02.15
최 장관은 “항체치료제에는 우리나라 기업이 개발한 것이 조건부 승인받았고, 혈장치료제도 진행하고 있다”며 “약물재창출로 발굴하는 치료제도 있는데, 과기정통부는 주로 약물재창출로 하는 치료제를 연구단계에서부터 지켜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외에도 많은 치료제가 많은 전임상단계, 임상2상 등으로 가고 있다”면서 “치료제 일부는 우리나라 큰 제약회사들이 하고 있는 건데 2상 결과를 분석하고있고 그거에 따라 식약처에 조건부 허가 신청을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