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위성 발사 1주년…亞 대기분야 주도권 확보한다

위성기반 입체 관측망 구축…위성자료 대국민 서비스 제공도 추진

디지털경제입력 :2021/02/18 12:00

정부가 정지궤도 환경위성 발사 1주년을 맞아 지상관측망과 연계한 입체관측망을 확대하고 아시아 위성활용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아시아권 내에서 대기 분야 주도권을 확보해 환경 외교의 대외 영향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다.

환경부는 오는 19일 정지궤도 환경위성 '천리안위성 2B호' 발사 1주년을 맞이해 그동안의 성과와 올해 중점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개발은 환경부 기후대기분야 핵심사업 중 하나다. 환경위성의 관측 정보는 고농도 미세먼지 감축과 '2050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기후변화 감시를 비롯, 국가 기후대기정책의 수립과 평가에 과학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정지궤도 환경위성. 사진=환경부

정부가 지난해 2월 19일 정지궤도 환경위성 발사 후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과 공동조사를 진행한 결과, 관측항목인 이산화질소·오존 정확도는 지상관측자료 대비 80∼90% 수준으로 확인됐다.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발사를 통해 우리나라는 8개월여간의 초기 시험과정을 거쳐 지난해 11월 18일 아시아 대기질 위성영상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를 통해 황사·미세먼지의 국내 유입 현황과 일본 니시노시마 화산 폭발로 분출한 아황산가스 이동 경로, 이산화질소 현황 등을 파악했다.

정부는 지난해 8월부터 미국·유럽·아시아 등 총 20개 위성 연구기관과 대학이 참여하는 국제 검증팀을 구성했다. 아시아 13개국과의 환경위성 공동활용 추진을 위해 10월 관계기관 간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위성을 이용해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성과 분석도 수행했다. 지난해 12월부턴 매시간 생성되는 위성영상을 대기질통합예보센터에 실시간으로 제공 중이다.

정지궤도 환경위성 대기질 공개 영상. 자료=환경부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위성센터는 올해 환경위성 기반 입체관측망 구축 등 3가지를 중점 추진한다.

우선, 미세먼지 측정과 기후대기정책 효과의 과학적 분석을 강화하기 위해 위성-항공-지상 관측을 활용한 입체관측망을 확보할 예정이다. 집중관측 시엔 항공·선박 등과 함께 3차원 입체관측망을 확대해 미세먼지·오존의 발생 원인을 규명할 계획이다.

센터는 태국 등 환경위성 관측범위 내에 위치한 아시아 13개국에 지상원격장비(판도라)를 설치, 각국의 대기오염 정책 지원은 물론 환경협력 강화의 계기도 제공할 예정이다. 판도라 총 20대 중 태국·인도네시아 등 4개국은 연내에 설치하고 나머지 16대도 내년까지 설치를 완료해 2023년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관련기사

위성자료 표출화면. 자료=환경부

다음달부턴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자료에 대한 대국민 서비스도 시작한다. 에어로졸 광학깊이(미세먼지 포함), 전층 이산화질소, 전층 오존 등 8종의 산출정보를 환경위성센터 홈페이지(nesc.nier.go.kr)에 공개한다. 10월부턴 5종의 산출정보를 추가해 연내로 총 13종을 공개할 계획이다. 대국민 위성 자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환경위성 자료 모바일 맞춤형 홈페이지도 6월까지 구축한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올해는 위성 기반 입체관측과 아시아 위성활용 협력체계 구축의 원년"이라며 "미세먼지 계절관리제의 마지막 달인 다음 달엔 총력대응과 함께 그린뉴딜·탄소중립 등 변화한 국가정책 기조에 발맞춰 대기·기후분야에 위성자료를 적극 활용하고 그간의 축적된 경험과 기술 등을 기반으로 후속 위성도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