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호주 거대 언론사에 연 257억 저작권료 낸다

나인 엔터테인먼트와 계약…중요한 선례될 듯

인터넷입력 :2021/02/17 15:01    수정: 2021/02/17 15:56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호주 정부의 압박을 받은 구글이 거대 미디어그룹인 나인(Nine)과 뉴스 저작권 계약을 체결했다.

구글이 호주 거대 미디어그룹인 나인 엔터테이먼트와 연간 3천만 호주 달러(약 257억원) 규모 뉴스 저작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씨넷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나인은 구글이 최근 선보인 뉴스 쇼케이스에 참여하는 대신 연간 257억원 규모의 저작권료를 받기로 했다. 나인 엔터테인먼트는 ‘시드니모닝헤럴드’ ‘디에이지’ 등 호주 양대 일간지를 소유하고 있는 거대 미디어 그룹이다.

이에 앞서 구글은 호주 최대 민영방송인 채널7 등을 소유한 세븐웨스트미디어와도 '뉴스 쇼케이스' 관련 저작권 계약을 체결했다. 

사진=씨넷

호주 상원, 하원에 "뉴스미디어협상법 통과" 권고 

구글이 나인 엔터테인먼트와 거액의 뉴스 저작권 계약을 체결한 것은 호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뉴스미디어 협상법(News Media Bargaining Code)’과 관련이 있다.

뉴스미디어협상법은 구글·페이스북 등 플랫폼 사업자들이 언론사들과 콘텐츠 사용료 협상을 진행하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법이 시행될 경우 구글과 페이스북은 검색결과로 나오거나 뉴스피드에 기사가 뜰 경우에 해당 언론사에 사용료를 지급해야 한다. 언론사와 협상에 실패할 경우 호주 정부가 중재하도록 했다.

구글은 이 법이 통과될 경우 호주 검색시장에서 철수하겠다고 압박해 왔다. 하지만 지난 주 호주 상원이 하원에 뉴스미디어협상법 통과를 촉구하는 보고서를 공개하자 구글도 적극 협상 쪽으로 입장을 선회했다.

결국 이날 대표적인 호주 미디어 그룹인 나인 엔터테인먼트와 연간 257억원 규모의 저작권 협상을 체결했다.

구글이 호주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뉴스 쇼케이스. (사진=구글)

구글은 이에 앞서 또 다른 호주 거대 미디어 그룹인 세븐웨스트와도 연간 3천만 달러(약 332억원) 규모 저작권 계약에 합의했다.

이번 계약을 호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호주의 저작권 계약이 선례가 돼 다른 지역에서도 연이어 구글에 뉴스 사용료를 요구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유럽연합(EU)은 구글, 페이스북 같은 거대 플랫폼 사업자들에게 뉴스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밴더빌트대학의 대니얼 저바이스 교수는 씨넷과 인터뷰에서 “호주에서 법을 통과시키고,그 법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겨우엔 캐나다, 뉴질랜드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선례가 될 가능성이 많다”고 주장했다.

호주 하원 표결을 앞둔 뉴스미디어협상법이 통과될 경우 구글과 페이스북은 지역 언론사들과 90일 내에 저작권 협상을 체결해야 한다. 협상 체결에 실패할 경우엔 정부가 임명한 조정관이 양측 협상을 중재하게 된다.

"결국 대형 언론사만 혜택 보는 것 아니냐" 비판도 

구글은 뉴스미디어협상법 시행을 앞두고 '뉴스 쇼케이스’를 선보였다. 안드로이드와 iOS의 구글 뉴스 앱에 참여하는 언론사에 대가를 지불하는 방식이다. 구글은 앞으로 3년 동안 뉴스 쇼케이스에 총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구글은 지난 해 10월 독일과 브라질에서 ‘뉴스 쇼케이스’ 시범 사업을 시작했다. 올 2월 초엔 호주에서도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나인은 처음엔 뉴스 쇼케이스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최근 선다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생산적인 대화’를 한 뒤 나인 측이 참여 쪽으로 선회했다고 씨넷이 전했다.

관련기사

선다 피차이. (사진=씨넷)

나인과 구글의 뉴스 저작권 계약에 대해선 비판 여론도 만만치 않다. 결국 거대 미디어 그룹들만 구글을 상대로 협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뉴스미디어협상법은 거래 플랫폼과 언론사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겠다는 취지로 추진되는 법이다. 하지만 이 법이 거대 언론사와 중소 언론사 간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기는 역부족일 것이란 비판도 만만치 않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