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1조원 규모 범부처 자율주행사업 본격 착수

자율주행 사업화에 부품·ICT·교통·서비스 등 전방위 지원

카테크입력 :2021/01/14 12:12    수정: 2021/01/14 15:34

정부가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팔을 걷어 붙였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국토교통부·경찰청 등 4개 부처는 15일 범부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2021년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으로 2027년까지 총사업비 1조974억원(국비 8천320억원)을 투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올해에는 53개 신규개발과제에 850억4천만원을 지원한다.

자율주행차 자료사진(제송=이미지투데이)

산업부 등 4개 부처는 2027년 융합형 레벨4 완전자율주행 기반 완성을 목표로 ▲차량융합 신기술 ▲ICT융합 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서비스 창출 ▲생태계 구축 등 5대 분야를 중점 지원할 계획이다.

■ 세계 최고 수준 차량기술을 목표로 ‘차량융합 신기술 개발’

정부는 자율주행차 기술 수준을 2018년 기준 82% 수준에서 93%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레벨4 자율차의 핵심 요소기술인 ▲자율주행 컴퓨팅기술 ▲인지예측센싱 기술 ▲정밀 측위 기술 ▲협력제어 기술 ▲자율주행-탑승자 상호작용 기술 ▲안전설계 기술 등을 개발한다.

차량융합 신기술 기술개발 개념도

올해에는 이 가운데 ▲핵심 인지 센서 모듈 ▲AI 기반 고성능 컴퓨팅기술 ▲자율주행차 플랫폼 등 15개 과제에 182억원을 투입, 개발에 착수한다.

레벨4 가변초점 기능 영상카메라, 4D 이미지 레이다, 3D 라이다, 긴급상황 대비 통합 안전 제어 기술, 차량 부품 시험표준 및 평가기술 개발 등이다.

■ 레벨4 이상 자율주행을 지원할 수 있는 ‘ICT 융합 신기술 개발’

자율주행 안전을 강화하고 지능을 고도화하기 위해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와 교통 인프라 엣지 컴퓨팅 간 연계한 자율주행 3-Tier 구조 ▲차량 내·외부를 연결하는 차량 통신(V2X) ▲보안기술 등을 개발한다.

올해에는 ▲자율주행 인지·판단·제어 AI SW 기술 ▲자율주행 학습데이터 수집·가공 기술 등 13개 과제(210억원) 개발에 나선다.

구체적으로는 자율주행 AI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데이터 스티칭 기술개발, 이종 차량 간 학습 데이터 공유를 위한 변환 기술, 초고속 V2X 저지연 안전연결기술, 자율주행 시뮬레이션 기술 등이 포함된다.

■ 차량 센서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레벨4 수준 자율차 안전운행을 위한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개발’

도로교통 시설과 융합방안, 운전자·차량·보행자·인프라·교통센터 등 다양한 교통 주체 간 연계협력 방안 등을 개발한다.

올해에는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도로 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등 11개 과제에 202억원을 투입한다.

크라우드소싱 기반 디지털 인프라 융합 플랫폼, 인프라 센서 기반 도로 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미래도로 설계 및 실증기술, 레벨4 테스트베드 구축, 레벨4 대응 교통객체 인지 고도화 및 악조건 해소, 자율주행 혼재시 도로교통 관제 기술 등이다.

■ 교통약자 이동지원, 수요대응형 대중교통을 위한 ‘자율주행 서비스 창출’

장애인·노약자 등 교통약자 이동지원, 실시간 수요에 대응하는 자율주행 대중교통 서비스, 자율주행 공유차 서비스, 국민 안전을 위한 긴급차량 통행 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교통약자 지원 ▲수요대응 대중교통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지원 등 3개 과제에 83억원을 배정해 개발에 나선다.

■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지원

자율주행 분야 글로벌 선도를 위한 글로벌 표준체계와 시험표준 개발하기로 하고 국제표준 5건 이상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또 충돌상황 대비 안전성 평가기술, 자율주행 교통사고 분석시스템을 개발하는 한편 관련 법·제도 개선도 병행한다.

올해에는 표준, 안전성 평가기술 등 생태계 구축 관련 11개 과제(174억원)가 시작된다.

자율차 주행 안전성 평가기술, 통합보안 안전성 평가기술, 자율차 교통사고 분석기법 및 재현 SW, 자율주행시대 고위험 사고인자 단속기술 과제 등이 포함됐다.

■ 사업관리 방안

4개 부처는 사업목표를 ‘융합형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마련’으로 설정하고 성과물 사업화에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사업화 가능성을 높이고 사업성과를 확산하기 위해 자동차 제조사나 핵심부품기업(1차 협력사) 등 수요기업 참여를 의무화한 수요연계형 과제를 기획할 계획이다. 관련 과제는 자율주행 아키텍처 기반 컴퓨터 플랫폼 상용화 기술개발, 자율주행 인지 예측/지능제어 차량 부품 시험기준 및 표준평가 기술개발 등이다.

산업부 소관 과제 선정평가 때는 사업화와 경제성 배점을 30점에서 40점으로 높이고 수행기관의 사업화 이력 제출을 의무화한다.

과제목표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무빙타깃제를 적용하고 자율주행 수요기업과 협의체를 구성·운영해 빠르게 변화하는 자율차 시장 트렌드를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

ICT 분야 결과물은 스타트업·기업·학계 등에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 SW 방식으로 제공한다.

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7대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도시 규모 리빙랩 실증환경에서 실증하면서 자율주행에 대한 대국민 수용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자율주행 리빙랩 예시

특히 4개 부처는 산발적·경쟁적 사업추진을 지양하고 실질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사업성과를 높여 나갈 방침이다.

4개 부처는 사업 준비과정에서 과장급 공무원과 전문기관 관계자로 구성한 범부처 협의체를 통해 지난해 말 ‘범부처 공동 운영관리 규정(훈련)’을 제정했다. 3월 중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 사업단(가칭)’을 공식 출범해 사업 통합관리와 사업성과 창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산업부 관계자는 “범부처 자율주행사업은 디지털 뉴딜의 핵심사업 가운데 하나로, 국내 자동차산업과 도로·교통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사업성과 창출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과제 접수 기간은 다음 달 1일부터 17일까지다. 세부 과제제안서(RFP)는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및 경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