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첫 발사 8개월 미뤄졌다

로켓 1단부 발사체 개발 소요로 내년 2월서 10월로 변경

과학입력 :2020/12/29 11:15    수정: 2020/12/29 18:01

한국형발사체(KSLV-2) 누리호의 1차 발사가 내년 하반기로 연기됐다. 당초 내년 2월 1차 발사 예정이었지만, 1단부 조립복잡성에 따라 추가 시간이 소요돼 8개월 미뤄졌다.

내년 10월 예정이던 2차 발사도 이에 따라 2022년 5월로 조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의 ‘한국형발사체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을 확정해 29일 발표했다.

한국형발사체는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을 통해 연구개발 과정과 사업 관리에 대한 자문과 평가를 받고 있다. 전담평가단은 최근 약 3개월 간 향후 개발 일정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을 수행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

발사 성공률을 높이고 안정적인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발사 일정 변경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일정 조정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다.

1단부는 발사체에서 가장 큰 추력을 내기 위해 75톤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된 구조로 설계돼 체계복잡성이 높다. 이로 인해 인증모델 개발까지 분해와 재조립을 반복하는 과정을 거쳐야 했다.

또 한국형발사체의 전기체를 구성하기 위한 단간 조립,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WDR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인 시간이 소요된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내년 본 발사를 앞두고 연구진과 관련 산업체들은 더욱 심혈을 기울이면서 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정부도 동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안건은 이날 우주위원회에서 확정됐다.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내년부터 약 7년간 추진되는 사업으로, 2027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에 착수한다.

위성본체는 천리안위성 2A, 2B호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기추진시스템과 고성능 GNSS 수신시를 적용해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향후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 안전 대응 지원과 GPS 위치보정신호 제공 및 미래 위성통신 기술 테스트베드 역할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발사체, 위성, 달탐사 등 주요 체계개발 사업 추진 시 일정지연이 최소화되도록 사업 관리를 개선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표준화된 일정관리 체계를 마련해 연구현장의 적용을 의무화하며 사업별 일정관리자를 지정하고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과 평가를 절차화 할 예정이다.

또한 주관기관의 사업 추진현황을 정부와 정기적으로 공유하며 위험요소 발생 시 즉시 보고를 의무화하도록 해 향후 추가적인 일정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