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한국형 녹색채권 안내서 발행

잠재적 발행자에게 절차·사업 등 제시…"투자자 접근성 높일 것"

디지털경제입력 :2020/12/29 12:00

환경부는 오는 30일 녹색투자 활성화를 위한 '한국형 녹색채권 안내서'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안내서는 녹색채권을 발행하기 위해 준수해야 할 절차와 자금 사용처, 사업 평가와 선정 과정, 자금 관리, 사후보고 등 녹색채권이 갖춰야 할 4가지 핵심 요소를 규정했다.

녹색채권의 잠재적 발행자에게 발행 절차와 대상 사업을 제시해 녹색채권 발행을 활성화했다는 평가다. 신뢰 가능한 정보 제공을 통해 '무늬만 녹색(Greenwashing)'인 채권을 방지, 투자자의 녹색채권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안내서는 비구속적인 권고안의 성격을 갖지만, 금융위원회·환경산업기술원·한국거래소 등 유관·금융기관과의 협의를 거쳐 국내 최초로 발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환경부가 한국형 녹색채권 안내서를 30일 발간한다. 그림=환경부

글로벌 녹색채권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60조원에서 지난해 약 300조원으로 급성장했다. 유럽연합(EU)은 지난해 녹색채권에 대한 구속적 기준인 녹색채권 기준을 발표했다. 일본도 2018년 녹색채권 안내서를 발간한 바 있다.

환경부는 녹색금융 활성화를 위해 녹색 분류체계 구축, 환경책임투자 지원을 위한 표준 환경성 평가체계 구축, 환경정보 공개 대상 확대 등의 정책도 추진 중이다.

녹색 경제활동의 판단 기준이 되는 녹색 분류체계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관계부처 검토를 거쳐 내년 상반기까지 마련한다.

관련기사

환경책임투자에 있어서도 다양한 평가체계에 따른 평가의 신뢰 하락을 방지하고, 금융기관의 환경책임투자를 지원키 위해 금융기관이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평가방법론을 마련해 제공할 예정이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녹색채권이 국제 시장에서 차지하는 규모가 점점 커지는 만큼, 환경부도 국내 녹색채권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며 "녹색채권 안내서를 바탕으로 금융기관과 녹색채권 발행 시범사업 실시를 비롯해 녹색채권 발행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