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뒤 선박 15% 친환경船 전환…'그린쉽-K' 프로젝트 추진

'제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 확정…온실가스·미세먼지 잡는다

디지털경제입력 :2020/12/23 13:15    수정: 2020/12/24 07:38

정부가 2030년까지 전체 선박의 15%를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류선박 대비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 친환경 연료공급 인프라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2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날 '제23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와 '제7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전세계 조선·해운시장은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규제 강화와 EU의 배출권거래제(EU-ETS) 시행(예정) 등에 대응키 위해 유류선박에서 친환경 선박 체계로 패러다임을 전환 중이다.

이에 정부도 해양환경 규제와 친환경 선박 신(新)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발·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한 데 이어, 이번 친환경선박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1조3천억원의 환경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약 40만톤의 온실가스와 함께 미세먼지(PM10) 저감 대책에 추가해 약 3천톤의 미세먼지를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IMO 2020' 사진=IMO

528척 친환경선박으로 전환…생산유발 효과 11兆

우선, LNG·하이브리드 등 상용화된 기술을 우선 적용해 공공부문부터 선제적으로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고 민간부문으로도 확산키로 했다.

노후 관공선 199척은 대체 건조하고, 선령 10년 미만의 189척은 미세먼지 저감장치(DPF)를 설치해 개조하는 등 2030년까지 총 388척의 관공선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다. 이 과정에서 표준설계·통합발주를 활용해 건조비 절감이 가능할 전망이다.

민간선박의 경우, 유·도선과 여객선 등 내항선박 58척과 화물선 등 외항선박 82척, 총 140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친환경선박 전환 목표. 자료=국토부

전체 대상선박 3천542척의 15%에 해당하는 528척을 친환경선박으로 전환, 2030년까지 4조9천억원의 매출과 11조원의 생산유발 효과, 4만여명의 고용 효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조선·해운산업이 밀집한 부산(1.5조 원), 전남(1.2조 원), 울산(1조 원), 경남(0.4조 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봤다.

친환경선박 보급 촉진을 위해 LNG·전기 등 친환경 연료공급 인프라도 단계적으로 확충한다. LNG벙커링 선박 운영, 육상 터미널 구축 등 LNG 연료 공급수단을 다변화한다.

접안선박의 육상전원공급장치인 AMP를 소형 전기·하이브리드 선박의 고속 충전설비로 활용하는 등 연료공급 인프라도 확충한다.

친환경선박 개발 비전. 자료=국토부

'무탄소선박' 로드맵 구축…2031년까지 9500억원 투입

미래친환경선박 선도기술 개발에도 집중한다. 액화천연가스(LNG)·전기·하이브리드 핵심기자재 기술을 국산화·고도화하고, 혼합연료 등 저탄소선박 기술에서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 기술로 이어지는 로드맵도 구축한다.

정부는 2022년부터 2031년까지 친환경 선박 전(全) 주기 혁신 기술 개발 사업에 약 9천500억원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유류선박 대비 70% 이상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할 전망이다.

한국형 실증 프로젝트인 '그린쉽-K'도 추진한다. 친환경기술을 적용한 소형 연안선박을 건조해 시범 운항한 후, 기술·경제성이 검증될 경우 대형선박까지 확산해 육·해상 검증과 최종 사업화로 연계할 방침이다.

친환경선박 연료공급 인프라 전망. 자료=국토부

2022년까지는 LNG 벙커링 전용선, 2025년까지는 LNG-암모니아 혼합연료 추진선 등 10척 이상의 시범선박 건조도 추진한다. 다목적 해상실증용 선박을 건조하고 퇴역예정 관공선을 개조해 4척 이상의 기자재 해상실증테스트베드도 구축한다.

친환경선박 시장주도 생태계를 조성을 위해 친환경선박·기자재 국가 인증제도도 운영한다. 사업자 선정 시 가산점 부여, 인증 받은 기술의 국제 표준화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친환경선박 운항정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분석·검증과 선박의 원격진단과 예측정비가 가능한 지원센터를 구축해 안전운항·관리 기반 확보에도 나선다.

정부 관계자는 "친환경 선박으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국제 규범상 의무이자 해운·조선분야의 새로운 도전과제로, 산업생태계를 한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본계획의 차질없는 이행으로 해운·조선·기자재 산업분야가 2050 탄소중립 실현과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는 한편, 새시대를 선도하는 신성장동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