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 차원에서 외국인의 투자 내역을 점검한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이날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규정을 발표했다.
중국의 새 규정은 방산과 에너지, 천연자원, 농업, 인터넷 기술, 금융 서비스 등 부문에서 외국인의 지분 취득 내용을 심사하는 게 핵심이다. NDRC와 상무부를 중심으로 꾸려진 조직이 이 작업을 전담한다.

이는 국가 안보를 고려한 조치라는 게 NDRC 측 입장이다.
NDRC 관계자는 "국제적인 관례에 따른 것"이라며 "안보 리스크에 대응해 장벽을 높여야 새로운 분야의 개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조치가 개방에 따른 경제적 이익과 국가 안보의 균형을 맞추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갈등 국면에 맞서고자 이 같은 움직임을 보였다는 관측도 흘러나왔다. 지난 18일 미국 정부가 중국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기업 SMIC와 드론 제조업체 다장 테크놀로지 등 중국 기업을 무역 블랙리스트에 추가한 바 있어서다.
그러나 NDRC 측은 미중 갈등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 KT, 스페인·중국 통신사와 엣지컴퓨팅 로밍 기술검증2020.12.17
- 에스티유니타스, 키즈스콜레 '스텝스' 1만 세트 중국 수출2020.12.14
- "아너의 목표는 중국 휴대전화 시장 1위"2020.12.11
- 중국산 테슬라 모델 3, 11월 2만1천604대 판매...전월 대비 78% 상승2020.12.09
NDRC 관계자는 "투자 규칙을 마련한 것은 보호무역주의와 무관하다"며 "미국과 유럽연합(EU), 호주, 독일, 일본 등도 최근 몇 년 사이 외국인 투자자에 대한 검토 메커니즘을 확립하거나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보호 없는 개방은 지속가능한 정책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