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주유소 등에 전기·수소 충전기 약 900기 구축

도심형 복합충전소 확대…전기차 급속충전 5배↑ 수소충전 38배↑

디지털경제입력 :2020/11/18 16:00    수정: 2020/11/18 19:27

조명래 환경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이 1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미래차 충전시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왼쪽 다섯 번째)이 18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미래차 충전시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도심 내 주유소와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에 2025년까지 전기·수소전기차 충전 인프라 900곳이 새로 들어선다. 전기차 급속충전기 누적 1만5천기, 수소충전소 누적 450기 구축 등 미래차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해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정유·가스 공급 6개사와 '미래차(전기·수소전기차) 충전시설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업무협약식엔 SK에너지·GS칼텍스·현대오일뱅크·에쓰오일·SK가스·E1 등 정유·가스 공급 6개사가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와 업계가 접근성이 좋은 도심 주유소에 미래차 복합충전시설을 구축하는 데 힘을 모으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도심 내 주유·충전소를 활용해 미래차 복합충전소를 구축, 미래차 생활 거점의 충전 여건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사진=Pixabay

2025년까지 미래차 133만대 보급…인프라 확대가 급선무

이날 환경부 관계자는 "정부는 그린뉴딜을 통해 2025년까지 133만대의 미래차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목표 달성을 위해선 충전 인프라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이달을 기준으로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총 9천기, 완속충전기는 총 9만기 수준이다. 이를 5년 뒤 각각 1만5천기, 50만기로 늘릴 계획이다. 전국 52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도 같은 기간 450기로 확대 구축한다.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이달 말을 기준으로 1.7배, 수소충전소는 8.7배를 구축 목표로 잡은 것.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고속도로 등 '이동 거점'을 중심으로, 완속충전기는 거주지·직장 등 '생활 거점'을 중심으로 구축한다. 수소충전소는 수요가 많은 서울 등 수도권에 우선적으로 구축한다. 이달 기준으로 수도권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총 13기인데, 이를 2022년까지 80기로 늘리겠단 목표다.

정부의 미래차 충전인프라 보급 목표. 자료=환경부

5년 뒤 주유·충전소에 전기차 급속충전 750기 구축

현재 주유소·LPG충전소 내 전기차 충전 인프라도 전국에 총 146기 뿐이다. 운영 중인 수소충전소 52개소 중 복합충전소도 25개소에 불과하다. 이에 업계는 2025년까지 자사 주유소·LPG충전소에 전기차 급속충전기 750기와 수소차 충전소 114개를 구축키로 했다.

이렇게 하면 주유·충전소 내 전기·수소차 충전 인프라는 현재보다 각각 5배, 38배가 늘어난다. 기업이 설치부지를 제공해 국비 50%와 민간 자금 50%를 투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 구축 계획에서 완속충전기는 제외됐다.

전기차 급속충전기 민간보조 시범사업 추진계획. 자료=환경부

업체별 계획을 살펴보면, SK에너지는 전기차 급속충전기 설치와 함께 충전·세차·정비 등 차량관리를 한 번에 제공받을 수 있는 사업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GS칼텍스는 서울 도심 내 주유소에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매년 40기 이상 구축, 전기차 이용 환경개선 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겠단 목표다.

현대오일뱅크는 2023년까지 직영주유소와 물류센터 등에 100킬로와트(kW) 이상급 전기차 급속충전기를 200기 이상을 구축할 예정이다. 에쓰오일은 직영주유소를 대상으로 충전기 설치 가능한 주유소를 선정하여 매년 30기 이상의 충전기를 조성할 방침이다. SK가스와 E1은 수도권 내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에 수소충전소 구축이 가능한 부지를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서울 여의도 국회 앞 수소충전소

수소충전소 인·허가권 '기초지자체→환경부'…입지규제 완화

수소충전소는 환경부 차관이 주재하는 '범부처 수소충전소 전담조직(TF·태스크포스)'를 통해 구축을 가속한다. TF는 수소차 구축 관련 인·허가권을 기초 지자체에서 환경부로 한시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 복합충전소 활성화를 위해 그린밸트 내 수소충전소 입지 규제도 대폭 완화할 계획이다.

충전소 운영 과정상의 경제성 문제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환경부에 따르면 수소충전소 업계에선 높은 수소 공급가와 전력비로 인해 매년 1억5천만원의 적자가 발생 중이다. 이에 환경부는 충전소 운영비 중 60% 이상을 차지하는 연료 구입비 차액을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등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정부가 수소충전소 인허가 특례를 도입한다. 자료=환경부

정부는 접근성이 좋은 도심 내 주유소 등에 미래차 충전시설이 구축되면 그간의 충전 불편을 상당히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사용자가 충전시설을 찾아다니는 불편이 줄어들고, 세차·정비 등 관련 편의시설도 이용할 수 있어 충전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미래차 보급 확대의 핵심은 사용자가 미래차를 이용하는데 충전 불편을 느끼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주유소와 충전소는 국민 실생활에 밀접한 공간인 만큼, 이번 협약을 계기로 미래차 이용자들의 충전 편의가 대폭 향상되고 보급 확대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