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협회 "수도권 행정서비스 종로구가 1위"

서울경기인천 47개 기초지자체 대상 조사...경기도선 성남시가 최고

중기/벤처입력 :2020/11/02 21:57

한국표준협회(회장 이상진)는 지난 8~10월 3개월간 실거주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인천·경기 지방자치단체 행정서비스 품질 조사에서 종로구가 전체 1위를 차지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조사는 서울특별시 25개 자치구와 인천광역시 인구 30만 명 이상인 6개 자치구, 경기도 인구 30만 명 이상인 16개 시 등 총 47개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서비스에 대해 실시됐다.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 공공부문 모델을 활용한 이번 조사는 최근 6개월 이내 1회 이상 해당 지역의 행정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20대~50대 남녀 고객을 대상으로, 서울·경기는 지자체당 300명(경기의 경우 20~50대 인구 50만 명 이하인 시는 200명), 인천은 구당 200명씩 인터넷 패널조사를 통해 진행했다.

서울시 25개 자치구 조사결과 평균 68.7점, 인천 인구 30만 명 이상 6개 자치구 조사결과 65.0점, 경기도 인구 30만 명 이상 16개 시 조사결과 평균 64.7점으로 3개 지자체의 서비스품질 수준을 비교했을 때 서울시가 인천시 대비 3.7점, 경기도 대비 4.0점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성남시는 경우 68.8점으로 서울시 자치구와 비교했을 때 11위 수준 정도로 평가됐고,  인천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연수구는 67.6점으로, 서울시 자치구와 비교하면 20위 수준 정도의 서비스 품질 격차를 나타냈다.

서울시 종로구는 71.5점으로 2019년 조사에 이어 2년 연속 서울시 25개 자치구 뿐 아니라 인천, 경기까지 통틀어 모든 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음으로 영등포구, 양천구, 송파구, 성동구, 강서구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중구는 66.0점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이어 동작구, 동대문구, 은평구, 금천구, 관악구 순으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1위인 종로구는 공공성, 적극성, 신뢰성,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 및 심미성 차원에서 타 구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도의 경우 성남시가 68.8점으로 2년 연속 조사 대상 16개 경기도 시 중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성남시에 이어 안산시, 용인시, 안양시, 남양주시, 부천시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반면, 경기도 광주시는 57.6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뒤이어 평택시, 의정부시, 김포시, 광명시 순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1위인 성남시는 본원적 서비스, 공공성, 친절성 및 개인화, 적극성, 신뢰성, 적절성,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 및 심미성 등 모든 차원에서 타 시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올해 처음 조사를 실시한 인천시는 연수구가 67.6점으로 인천 6개 자치구 중 행정 서비스품질 수준이 가장 높게 평가됐다. 연수구 다음으로 계양구, 남동구, 부평구, 서구, 미추홀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1위인 연수구는 본원적 서비스, 공공성, 친절성 및 개인화, 적극성, 신뢰성,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 및 심미성에서 타 구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한편 거주지역의 정책평가 항목에서 서울시의 경우 보건의료 분야가 타 분야 대비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고, 교통 분야와 안전 분야가 뒤를 이었다. 경기도의 경우 안전 분야의 정책평가점수가 가장 높았고 이어 사회복지 분야와 전자정부 분야 순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인천 역시 안전 분야와 교통 분야 정책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관련기사

각 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둬야 할 정책 분야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조사대상 3개 시·도에서 공통적으로 ‘경제(일자리) 분야’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서울시 거주민의 22.9%, 인천시 거주민의 28.2%, 경기도 거주민의 27.6%가 경제 분야를 선택했다. 경제 분야에 이어 서울과 인천 거주민은 ‘복지 분야’(서울 17.0%, 인천 19.7%), 경기 거주민은 교통 분야’(22.2%)에 정책 역점을 둬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상진 한국표준협회장은 "작년 대비 서울과 경기의 서비스품질 수준 격차가 6.6점에서 3.7점으로 줄어드는 등 1년 사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1위를 포함한 상위권 지자체의 분포는 대체로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며 “행정서비스 품질과 주민의 만족도에 관심을 가지고 노력한다는 사실을 주민들이 알아본다는 점에서 자랑스러워할 만한 부분”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