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서울대, AI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 개발

음성 특징 분석해 치매 여부 확인…프로그램 검증 통해 정확도 향상

방송/통신입력 :2020/11/02 09:39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AI를 활용한 음성 기반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AI가 사람의 음성을 듣고 치매 여부를 판별하는 내용이다. 성대에서 만들어진 사람의 음성은 성도를 거치면서 증폭되거나 감쇠되는데, 치매 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차이가 발생한다. AI가 음성의 특징을 분석해 치매 여부를 선별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보건소나 병원 방문 없이 비대면으로 치매를 선별할 수 있어 진단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앱 형태로 개발되어 의료진과 환자, 가족의 부담 없이 주기적, 반복적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진이 치매 선별 프로그램을 활용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사진=SK텔레콤)

치매는 일상생활의 저하가 나타나기 전 수년에 걸쳐 기억, 언어, 판단력 등 여러 인지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양사는 지난해부터 AI를 활용한 사회적 문제 해결이라는 공동 목표로 이번 연구를 시작했으며, 일년 여의 개발 기간을 거쳐 실사용 환경에서 테스트를 시작했다.

관련기사

SK텔레콤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 소속 전문의 및 임상심리전문가와 함께 이달부터 종합병원 및 치매안심센터에서 프로그램을 검증하고, 치매 선별 정확도를 높여갈 계획이다. 또한, 문법 조성이나 언어 반복 등 치매 환자의 언어적 특징과 얼굴 인식, 심박 수 및 혈압 등 추가 정보를 활용한 진화한 AI 치매 선별 프로그램도 내년 선보일 계획이다.

김윤 SK텔레콤 CTO는 “AI 기술을 의과대학과 공동으로 연구하여 의학 프로그램을 상용 환경에서 검증하게 된 것은 AI 헬스케어 분야의 큰 진전”이라며 “SK텔레콤은 앞으로도 취약 계층 지원 등 사회에 기여하는 AI를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