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해 보다 쉽고 간편하게 기기(디바이스)를 만들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개발 환경이 구축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명준)은 사물인터넷 기기를 만들기 위한 핵심 SW 프레임워크와 통합개발환경 도구를 개발,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ETRI가 개발해 공개하는 SW 프레임워크는 ▲경량형 운용체계(OS) 5종 ▲센서 및 통신 등 펌웨어 ▲자원관리 및 저전력 관리 모듈 등으로 이뤄졌다. 초보 개발자도 쉽게 마이크로서비스를 만들고 이를 연결해 프로그램 완성이 가능하다. 전문가도 필요한 프로그램을 불러와 일부 과제만 수정하면 수백~수천행의 프로그래밍 입력 수고를 덜 수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특히, 연구진은 제공하는 SW는 사물인터넷 관련 국제표준 플랫폼과 연동한다. 또 지원하는 운용체계 5종 모두 SW 적용이 쉬워 호환성을 위한 별도 작업 없이 SW활용이 가능하다고 ETRI는덧붙였다.
ERTI 연구진은 IoT 기기가 가벼워지는 추세에 맞춰 초소형 기기에 적합하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라이트(Lite) 버전도 함께 공개한다. 저렴한 칩을 활용, 1회 통신하면 임무가 완성되는 형태다.

Lite 버전 크기는 실행 파일이 17.9KB, 실행 메모리 크기가 8.1KB에 불과, 저가 및 저전력에서 동작이 가능하며 프로그램이 탑재가 쉬운 장점이 있다. 그동안 IoT 기기 SW는 전문 지식이 있어야 개발이 가능했다. 또, 기기 작동을 변경하기 위해선 펌웨어를 교체하거나 복잡한 프로그래밍이 필요했다. 하지만, IoT웨어를 사용하면 비교적 쉽고 빠르게 개발자의 의도에 맞는 SW 구축이 가능할 전망이다.
IoT웨어를 통한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하는 경우, 어떤 임무를 수행할지 자동 조정하고 일부 기기의 데이터 트래픽에 이상 발생 시 다른 기기 네트워크로 분산시켜 임무를 계속 수행하게 하는 효과적 자원관리도 가능하다고 ETRI는 밝혔다.
또 ETRI는 IoT기기의 개발환경도구인 IoT웨어-IDE를 개발 ▲드래그 앤 드롭 그래픽 프로그래밍 ▲개발자 협업 프로그래밍 ▲코드 전력소모 패턴 분석기 등도 지원한다. 기존 서너 달 걸리던 프로그램을 일주일 내 짤 수 있다는 게 연구진 설명이다.
ETRI는 소스코드 공유서비스인 깃허브를 통해 이달 22일부터 IoT웨어 소스 및 IDE 실행 파일을 공개하고, 내년 하반기에 IDE 클라우드 서비스도 계획하고 있다.
관련기사
- KT파워텔 "IoT로 졸음 운전 예방한다”2020.10.15
- 텔릿 새 IoT 모듈, SKT LTE-M 인증2020.10.14
- 인텔, IoT용 아톰·펜티엄·셀러론 프로세서 공개2020.09.24
- ‘블록버스터’ 국산 신약 개발하려면 ‘통큰’ 정부 지원 필요하다2025.05.18
ETRI 박찬원 자율형IoT연구실장은 "IoT웨어를 이용하면 비전문가도 프로그래밍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창의적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다. 또 경량형 IoT 기기에 탑재할 수 있어 디바이스 가격 경쟁력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세대 초소형IoT 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내년까지 수행될 예정이며, 나모웹비즈, 티오이십일콤즈가 공동연구기관으로 참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