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내뿜어 스스로 헤엄치는 오징어 로봇 개발됐다

美 UCSD 연구진, 오징어 로봇 개발

컴퓨팅입력 :2020/10/12 10:17

물 속에서 재빠르게 헤엄칠 수 있는 오징어를 닮은 로봇이 개발됐다.

미국 IT매체 엔가젯은 물 속 산호나 해양 생물을 해치지 않고 물 속 생태계를 탐색할 수 있는 오징어 로봇이 개발됐다고 최근 보도했다.

美 UCSD 연구진이 오징어를 닮아 스스로 헤엄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 (사진=UCSD)

이 로봇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UCSD) 연구진이 개발했으며, 연구 결과는 최근 `생체모사와 생체모방공학'(Bioinspiration and Biomimetics) 저널 최신호에 소개됐다.

오징어는 물 속에서 몸에 있는 근육 주머니의 수축과 팽창을 통해 물을 흡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물을 내뿜으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연구진은 실제 오징어의 이런 생체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얻어 로봇이 물 속에서 스스로 수영 할 수 있도록 했다. 유연한 몸체를 지닌 오징어 로봇은 몸을 수축, 팽창시키며 물을 내뿜으며 헤엄칠 수 있다. 로봇은 물을 분출시키는 노즐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방향으로 헤엄칠 수 있다.

연구진들은 이 로봇이 시간당 약 0.6km를 이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타 소프트 로봇의 이동속도 보다 빠른 편이다. 로봇에는 데이터 기록에 필수적인 카메라와 기타 센서를 탑재할 수 있는 방수 구역도 가지고 있다.

관련기사

소프트 로봇은 단단한 로봇 보다 물속 생물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적다. 연구진들은 로봇 제작을위해 아크릴 폴리머와 같은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했으며, 3D 프린터로 프린트하고 레이저로 절단한 단단한 부품 몇 개를 사용했다.

해당 연구의 주요 저자이자 UC샌디에고 마이클 T. 톨리(Michael T. Tolley) 교수는 “우리는 오징어가 빠르게 헤엄칠 때 사용하는 모든 주요 기능들을 재현했다”며, "이 로봇은 빠른 이동을 위해 제트 펄스(jet pulse)를 생성할 수 있고, 체형을 바꿔 이를 얻을 수 있는 최초의 줄에 묶여있지 않은 언테더드(untethered) 로봇이다. 이는 수영 효율성을 향상시킨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