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경북대 정희영 교수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의료용 등에 쓰이는 바이오플라스틱의 분해를 더욱 촉진하는 곰팡이 균주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바이오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분해되지 않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된다. 그러나 일부 바이오플라스틱은 자연계에서 완전분해가 어렵고, 분해되는 데 수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이번 연구에 사용한 바이오플라스틱 역시 완전분해가 어려운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과 '폴리유산(PLA)' 등이다. 이들은 의료용 튜브·봉합사 등 의료용 소재를 비롯해 포장제와 코팅제 등으로 사용된다.
연구진은 토양에 서식하는 곰팡이가 가진 물질의 분해 능력에 주목하고 국내 10여곳의 토양에서 분리한 200여개 곰팡이 균주를 대상으로 바이오플라스틱의 분해 능력을 확인했다.
그 결과, 7개 균주가 분해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균주에 따라 분해할 수 있는 물질과 시간이 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곰팡이 '푸시콜라 아세틸레리아(Fusicolla acetilerea)'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과 폴리유산(PLA)을 모두 분해했다.
또 '탈라로마이세스 피노필루스(Talaromyces pinophilus)'는 폴리유산(PLA)을, 효모인 '아피오트리쿰 포로섬(Apiotrichum porosum)'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을 분해했다.
폴리카프로락톤 디올(PCL) 분해는 균주에 따라 7~14일 정도 소요됐다. 폴리유산(PLA)의 완전분해에는 45일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분해효소 유전자 파악 등 분해 원리 연구를 추진하고 바이오플라스틱 생분해 공정에 활용하기 위해 이 균주들에 대한 특허를 최근 출원했다.
관련기사
- 국립생물자원관, 김치 유산균 바이러스 소독 효과 확인2020.09.28
- 생물자원관, 좀목포사초 등 사초과 식물 2종 세계 최초 발견2020.08.04
- "위험하니 피해 계세요"…공사장 출동한 '로봇 신호수'2024.12.18
- "계엄 버거 출시안해"...정보사령관들 모의 장소 롯데리아 난색2024.12.18
이번 연구는 국내 토양에 자생하는 곰팡이를 활용하여 바이오플라스틱 폐기물을 분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미생물은 분해자로 생태계 물질 순환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며 "미생물이 가진 분해능력을 오염정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미생물을 찾아낼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