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구, 주민 의견 사전 수렴 없이 '양재 수소충전소 설명회' 열기로

서초구 푸른환경과 "안전성 설명하기 위한 순수 결정...연내 재개장 희망”

카테크입력 :2020/09/27 10:50    수정: 2020/09/27 10:51

서초구가 서울시의 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 계획에 제동을 건다는 의혹이 일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서초구는 서울특별시장 권한대행 등과 만나 양재 수소충전소 주민설명회 일정과 방식 등을 합의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사전 의견 수렴 없이 서초구가 자의적으로 주민설명회 개최 결정을 내린 것에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서초구청은 "안전성 설명을 위한 순수한 결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서초구 푸른환경과 관계자는 최근 지디넷코리아와의 통화에서 “24일 오후 8시에 서울시가 보낸 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 관련 협조 공문을 받아봤다”며 “기존에 연구용 시설로 운영된 곳을 상업용 시설로 전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보니, 자체적으로 이를 주민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주민설명회 개최를 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양재수소충전소는 원래 현대자동차의 수소충전 연구용 시설로 운영됐다. 그 후 지난 2018년 국내에서 넥쏘가 출시된 이후 양재수소충전소는 일반인들도 쓸 수 있는 시설로 전환됐다. 하지만 장비 노후화 등의 문제로 지난해 말부터 현재까지 일시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현재 방치된 상태인 서울 양재 수소충전소 모습

현대차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올 연말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을 재개하겠다는 계획을 전한 바 있다. 하지만 자체적으로 연내 양재 수소충전소를 열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려 이를 서울시에 통보했고, 운영권을 서울시로 넘기는 기부체납 결정을 했다.

서울시는 최근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 대행을 산하기관인 서울에너지공사에 맡기고 선진화된 수소충전소 운영에 힘쓰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추가경정예산까지 확보하고 충전설비까지 개선시킨다는 점도 강조했다. 이 계획이 제대로 실천되기 위한 최우선의 조건은 서초구청의 동의다.

하지만 서초구청이 법적 근거가 없는 주민설명회를 열겠다는 방침을 정하면서, 수소충전소를 주로 이용하는 넥쏘 오너들의 반발을 얻고 있다. 과천에 거주하는 한 넥쏘 오너는 “과천에서 여의도 국회 수소충전소까지 하루 최대 2시간 정도 잡아먹고 시간 허비하는 것을 생각하면 서초구청을 상대로 피해 보상을 요구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2020년 9월 26일 현재 양재 수소충전소 모습. 충전소 설비가 철거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되고 있다. 충전소 재개장 관련 안내문은 없다.

이에 서초구 푸른환경과 관계자는 “수소충전소는 주민들이 기피하는 시설로 보인다”며 “시험 연구용으로 활용됐던 시설이 상업용 시설로 전환 되면 이를 행정기관이 인근 주민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주민들은 수소충전소의 기술이나 안전성에 대해 잘 몰라 막연한 불안감을 갖고 있으니 이를 불식시켜주기 위해 수소충전소 설명회 개최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초구청은 양재 수소충전소 연내 재개장 설명회 개최 결정에 앞서, 주민들의 의견을 듣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회가 개최되려면 사전에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나온 상황에서 진행돼야 하는데, 서초구청이 주민 의견 수렴 과정 없이 자의적으로 설명회 개최를 판단한 셈이다.

이에 푸른환경과는 “순수한 결정”이라는 입장이나, 이 같은 방식이 수소충전소 오너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 힘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19 재유행 상황 속에서 주민설명회를 열어야 하나는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서초구 푸른환경과 관계자는 “서울시장 권한대행 등과 만나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설명회 방식을 온라인으로 할지, 오프라인으로 하면 적정인원을 얼마나 할지 고려중”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또 그는 “푸른환경과는 환경 업무를 하고 있다. 환경에 종사하는 직원 입장에서는 서초구 양재 수소충전소의 연내 재개장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양재 수소충전소 운영 문제가 커지면서 서초구청 푸른환경과장이 양재 수소충전소 자체를 없앨 수 있다는 강도 높은 발언을 했다는 논란에 서초구청 언론팀장은 “푸른환경과장과 통화를 해본 결과, 본인은 이런 발언을 한 적이 없으며 상당히 억울하다는 입장”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