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디지털 뉴딜의 핵심은 ‘데이터 댐’"

"데이터 집산과 재창조 문제가 국가 미래 경쟁력 좌우"

방송/통신입력 :2020/08/19 17:13    수정: 2020/08/19 17:13

더불어민주당이 디지털 뉴딜 정책의 핵심으로 ‘데이터 댐’을 꼽고 가장 중요한 추진과제로 지목했다. 정부도 디지털 경제의 기반인 디지털 댐이 국가 경쟁력과 우위를 가를 것으로 내다보고 관련 정책 추진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9일 오후 서울 중구 더존을지타워에서 열린 K-뉴딜위원회 데이터댐 정책간담회에서 “디지털댐 구축 현장에서 보는 것처럼 이렇게 전환하는 패러다임이 우리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며 “여러 의견을 청취해 당에서 제도적으로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조정식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디지털 경제로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데이터와 인공지능이 기반인 디지털 경제는 기존 산업정책과 전혀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며 “데이터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원동력이자 거의 무한대로 생산과 공급이 가능한 디지털 경제의 쌀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이어, “데이터 3법 처리에 이어 한국판 뉴딜에서 데이터댐 구축을 가장 중요한 추진과제로 꼽았다”며 “디지털 뉴딜의 성패가 데이터 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

김용우 더존ICT 회장(왼쪽)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데이터댐이라고 일컫는 분야는 디지털 뉴딜 계획에서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게 강화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과거 미국 대공황 시 뉴딜 사업에서 대표 사업으로 꼽히는 후버댐처럼 새로운 산업의 기회를 데이터와 네트워크, 인공지능으로 이뤄진 데이터댐에서 찾겠다는 뜻이다.

세부적인 정책 과제로 공공데이터의 확대 개방, 민간 데이터 산업 활성화, 데이터 기반 서비스 개발 지원, 5G 네트워크 조기 구축,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데이터 경제 전환 민관 합동 콘트롤타워 구축, 데이터 가공 바우처 제공 등이 포함돼 있다.

이같은 데이터댐 정책은 디지털 뉴딜 과제 중에서도 경제 파급력이 크고,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사업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비대면화의 확산,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와 같은 사회 경제적인 배경을 고려할 때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대표 과제로 논의되고 있다.

인공지능과 데이터 등 데이터댐 정책 과제 분야가 가진 산업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 디지털뉴딜, 크게는 한국판뉴딜 종합계획의 배경이자 핵심과제로 지목됐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지난달 종합계획이 확정 발표되기에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강원도 춘천에 위치한 더존비즈온을 찾아 “디지털 경제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활용을 최대한 활성화하기 위한, 이른바 데이터댐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장석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은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판 뉴딜은 우리나라가 선도형 경제로, 추격국가에서 선도국가로 변화하는 국가 대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데이터를 어떻게 모으고 생산하는지에 따라 국가 경쟁력과 미래산업의 우위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