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국 일반정수장 배수지·수용가 유충 없었다”

전국 일반정수장 435곳 전수조사 결과 유충 미발견

디지털경제입력 :2020/07/28 10:44

환경부가 17일부터 26일까지 전국 일반정수장 435곳을 전수조사한 결과 일반정수장 배수지와 수용가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28일 밝혔다. 다만 전체 합천 적중, 강릉 연곡, 무주 무풍 등 정수장 3곳 여과지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됐으나 배수지와 수용가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환경부는 유충이 여과지에서만 발견되고 정수지와 배수지에서 발견되지 않은 것은 유충이 여과지에서 걸러져 가정에 공급되는 수돗물에는 흘러가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수돗물은 통상 취수장 혼화지, 응집지, 침전지, 여과지 등 여러 단계를 거치고 염소를 투입한 후에 정수지, 펌프실, 배수지 등을 거쳐 일반 가정으로 공급된다.

환경부는 합천과 무주는 원수(계곡수) 수질이 좋아 통상 여과지를 뒤집어 세척하는 역세 주기(2~3일)보다 길게(7일) 운영한 것이 유충 발생 원인으로 추정했다. 강릉은 완속 여과지가 외부에 노출돼 운영함에 따라 유충이 유입된 것으로 조사됐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이 활성탄과 급속여과 모래 등을 설명하고 있다.

환경부는 3곳 정수장의 해당 여과지 운영을 중단하고 여과지 모래 교체, 포충기 설치, 역세 주기 단축 등의 보완조치를 이달 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인천은 유충이 발견된 활성탄지를 차단하고 배수지와 관로를 단계적으로 퇴수조치한 결과 22일 이후 266개 모든 관로상 관측지점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관로 말단 수돗물 속에 남아 있는 일부 유충이 가정에서 발견되고 있으나 발견 건수는 21일 24건에서 26일 4건으로 줄어들었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인천 외 지역에서 실지렁이, 나방파리 등이 화장실 및 욕조 바닥에서 발견되는 등 벌레 민원이 일부 지속되고 있지만 지금까지 수돗물 공급계통에서는 벌레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전문가 정밀원인조사반 조사 결과를 반영해 8월 말까지 종합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종합대책 수립 전 긴급 대응을 위해 정수처리시설 내 유충 유입을 방지하고 수도 공급계통 유충 번식을 차단하는 등 수돗물 위생관리 우선 조치사항을 마련해 시행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신진수 국장은 “수돗물 유충 사태의 대응·수습과 관련한 모든 과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개함과 동시에 발생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오후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정수장 위생관리 우수사례로 꼽히는 서울 뚝도정수장을 방문해 정수장 설계현황, 위생관리 절차 및 국제표준규격 인증 관련 사항 등을 점검하고 다른 지자체에도 적용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