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생명 매각 난기류…칸서스, 비토권 행사 여부 촉각

산업은행 "다각도로 협의 중…가격 조건 아직"

금융입력 :2020/07/13 21:01    수정: 2020/07/14 06:59

산업은행의 KDB생명 매각 전선에 이상 신호가 켜졌다. 매각 주체 중 한 곳인 칸서스자산운용이 생각보다 낮은 가격으로 인해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서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칸서스자산운용은 KDB생명 매각 건을 놓고 고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일각에선 산업은행과 우선협상대상자인 JC파트너스의 주식매매계약(SPA) 체결 전 비토권(거부권)을 행사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이는 KDB생명 매각 가격이 칸서스자산운용의 기대치보다 낮게 책정됐다는 이유에서다.

시장에서 보는 KDB생명의 매각가는 5천500억원 수준이다. JC파트너스가 KDB생명 구주(92.73%)를 2천억원에 사들이고, 3천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그러나 들여다보면 결국 KDB생명의 가치를 2천억원으로 평가한 셈이라 칸서스자산운용의 불만이 크다는 전언이다. 때문에 이 회사는 지난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도 추가 손실이 발생한다는 우려에 반대 의사를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칸서스자산운용의 판단이 관건이다. 이들이 비토권을 행사한다면 KDB생명 매각에 제동이 걸릴 수 있어서다.

현재 KDB생명의 최대주주는 산업은행과 칸서스자산운용이 각 68.2%와 2.47%의 지분을 들고 있는 KDB칸서스밸류PEF인데, 칸서스자산운용 측은 PEF 설립 당시 계약에 따라 비토권을 확보한 바 있다.

다만 칸서스 측이 매각을 반대할지는 미지수다. 현 시점에 매각이 성사되지 않을 경우 KDB생명의 경영난이 가중될 수 있어서다.

실제 KDB생명은 올 1분기 429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리며 작년보다 4배 성장했으나, 영업보다 금융상품투자 수익과 외환거래이익의 기여도가 커 영업력 중심의 체질 개선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2023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에 맞춰 추가로 자본금도 쌓아야 한다. 여기에 초저금리 기조로 생명보험업계 전반이 운용자산이익 하락과 역마진 부담을 짊어진 역시 우려스런 부분으로 지목된다.

관련기사

KDB생명 노조도 칸서스자산운용 측에 조속한 동의를 촉구하고 있다. 이들은 칸서스 측이 제도 변화에 대응해 자본 확충을 해줄 수 없다면 서둘러 매각을 결정하라며 집회 등 강경 대응을 예고한 상태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현재 SPA 체결을 위해 JC파트너스 등 이해관계자와 다각도로 협의하고 있다"면서 "가격 조건 또한 확정되지 않아 칸서스자산운용의 비토권 행사 여부를 논하긴 이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