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으로 댐 안전점검…'스마트 안전체계' 만든다

환경부, 2025년까지 디지털 트윈 구축…3차추경으로 약 13억원 확보

디지털경제입력 :2020/07/06 15:30

정부가 무인기(드론)를 활용한 댐 안전점검을 본격 추진한다. 사각지대 없이 댐의 이상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더욱 꼼꼼한 안전점검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하반기부터 댐 안전점검에 드론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고, 2025년까지 3차원 가상공간(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AI) 기반의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지난 3일 국회 심의를 통화한 3차추경을 통해 드론 구입비용과 인력 비용 등 총 13억1천200만원이 편성됐다.

강원 화천군에 위치한 화천댐. 사진=사단법인 한국대댐회

드론을 활용한 댐 안전점검은 인력에만 의존했던 점검 방식의 단점을 보완키 위해 무인기를 이용, 영상으로 촬영한 후 3차원 그래픽으로 구현해 벽체 등 댐의 손상여부를 살펴보는 지능형 방식이다.

그동안은 점검 인력이 작업줄을 통해 댐의 벽체를 타고 내려가며 맨눈으로 결함 여부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주로 점검자의 경험에 의존해 댐 벽체의 결함이 판단됐고, 일부 구간은 접근이 어려워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랐다.

내년부터 구축될 예정인 댐 3차원 가상공간(디지털 트윈)에선 무인기로 점검한 사진·영상 자료 등을 누적해 입력할 수 있다. 빅데이터가 축적되면 AI를 활용해 댐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게 된다.

자료=환경부

아울러 환경부 산하 한국수자원공사 내에 댐 안전점검·관리를 전담하는 '댐 안전관리센터(가칭)'도 설치된다. 이를 통해 선제적으로 댐의 보수·보강이 가능해져 위기대응 능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환경부는 내다봤다.

관련기사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를 차질없이 추진하여 위기대응 능력을 강화하고, 국민들의 깨끗한 물 사용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하게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조 장관은 이날 오후 대전 대덕구 대청댐 국가안전대진단 현장을 찾아 무인기를 활용한 댐 스마트 안전관리체계 추진상황을 점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