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총장 배덕효)는 지난 6월 22일부터 26일까지 1학기 기말고사를 대면 및 비대면 시험으로 치뤘다고 30일 밝혔다.
세종대는 최근 수도권의 코로나19 집단 감염이 확산됨에 따라 이번 기말고사를 원칙적으로 비대면 온라인 시험으로 진행하고, 일부 대면 시험이 필요한 과목은 사전 신청을 받아 방역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고 시험을 치뤘다.
특히 비대면 온라인 시험은 부정행위 방지를 위해 영상 시험 감독 콘트롤타워인 '중앙 감독실'을 설치, 운영했다. 대양AI센터 지하 1, 2층에 3개의 중앙 감독실을 만들어 교수, 직원, 조교 등이 PC 화면을 통해 학생들의 시험 보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했다.
학생들은 비대면 시험을 보기 전에 스마트폰 배터리를 완충하고 스마트폰을 방해금지 모드로 설정했다. 안정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될 수 있는 와이파이 또는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에서 Webex(웹엑스)에 접속하고 책상 위 부정행위로 간주할 만한 모든 물건을 치우게 했다.
이후 학생들은 블랙보드에 접속해 시험을 치뤘고, 시험 보는 동안 스마트폰의 Webex로 본인의 시험 보는 모습을 촬영했다. 이 모습을 중앙 감독실의 감독관들이 시험 시간 내내 1인당 최대 20명씩 감독했다.
대학 측은 네트워크 등의 문제로 온라인 시험을 볼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해 학술정보원에 온라인 시험을 볼 수 있는 공간도 마련했다. 실기 등 과목 특성상 대면 시험이 필요한 과목은 방역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고 대면 시험을 치뤘다.
2020년 1학기 대면 수업을 한 총 451개 강좌 중 250개 강좌가 대면 시험을 사전에 신청했다. 교무처는 대면 시험을 신청한 강좌의 학생 수 등을 감안해 시험 일자와 장소를 조율했다.
시험 장소가 정해지면 고사장 방역을 실시했다. 학생들은 손세정을 하고, 고사장에 배정된 직원들이 고사장 입구에서 학생들의 신분증 검사와 체온을 체크했다. 확인이 끝난 학생들은 노란색 스티커를 부착한 후 고사장에 입실하고 시험을 치뤘다. 시험이 종료되면 다시 한번 방역을 실시했다.
관련기사
- 김대종 세종대 교수 "한국, 일자리 창출 많은 온라인 쇼핑 적극 육성해야"2020.06.29
- 동서발전, 세종대와 기후변화 전문가 양성 '맞손'2020.04.23
- 김덕기 세종대 교수 연구재단 나노,반도체 단장 선임2020.04.02
- "국가 AI 앞서 클라우드 생태계 활성화부터"…공공사업 재건·인력 양성 시급2025.05.13
고사장은 시험 보는 학생들이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착석할 수 있도록 시험 보는 학생 수 보다 좌석이 많은 강의실을 배정했다. 대면 시험을 치르는 학생이 37.5℃ 이상 발열로 시험을 치르지 못하면 담당 교강사가 대체 평가 방법을 마련, 해당 학생이 성적을 받는데 피해가 없게 조치했다.
이번 기말고사 준비를 총괄한 홍성경 교무처장은 "2020-1학기는 모두가 처음 겪어보는 코로나19 사태로 큰 혼란이 있었지만, 무엇보다 학교 구성원들의 안전과 학생들의 수업권 보장을 위해 노력했다"며 "비대면 온라인 시험의 공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 시도했는데 다행히 큰 문제 없이 2020-1학기 기말고사가 끝나 다행이고,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적극적으로 도와주신 교수님, 직원분들 그리고 학생 여러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