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한-팔라우 노선에서 자유로운 직항 운항이 가능해졌다.
국토교통부는 26일 팔라우와 한-팔라우 간 항공회담을 개최해 양국 운항 공급력 자유화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김이탁 국토부 항공정책관과 찰스 오비창 팔라우 인프라산업부 장관이 각각 수석대표로 화상 회담에 참여해 공급력 상한을 폐지하기로 했다.

두 나라가 항공자유화하기로 함에 따라 자유로운 직항 운항이 가능해졌다. 또 저비용항공사를 포함한 다양한 항공사의 신규진입 및 증편 등을 통해 팔라우로 향하는 관광객은 더욱 저렴하고 다양한 여행 일정을 즐길 수 있게 됐다.
팔라우는 태평양 서안에 있는 섬나라로 신혼여행이나 다이빙 등의 수상레저를 즐기기 위해 찾는 인기 있는 관광·휴양지로 항공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왔다.
관련기사
- 도심항공교통 상용화 위한 산·학·연·관 ‘원 팀’ 떴다2020.06.26
- 코로나로 못 쓴 항공마일리지 유효기간 1년 연장2020.06.26
- 어린이 전자책 '팔라우', 체험단 모집2020.06.26
- [단독] 삼성-레인보우, 'S&R 휴머노이드 팀' 본격 가동2025.04.09
그동안 한-팔라우 간에는 여객항공편을 주당 왕복 7회 운항할 수 있는 공급력이 설정돼 있었으나 양국 간에 증가하는 항공수요 등을 고려해 항공·관광업계에서는 운항 규모 증대를 요구해왔다. 2019년 동계 기준 대한항공 주 2회, 아시아나 주 4회 운항했으나 코로나19로 중단 중이다.
김이탁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코로나로 인해 어려워진 항공사 경영이 조속히 정상화될 수 있도록 국제 항공노선을 복원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며 “이번 팔라우 회담 사례를 참고해 앞으로도 화상을 이용한 항공회담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