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와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한국소비자원은 18일부터 ‘보건용 마스크 및 손 소독제 매점매석 행위 등 신고센터’를 공동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앞으로 보건용 마스크 및 손 소독제 매점매석 행위가 의심되면 소비자상담센터(1372)로 신고하면 된다.
신고대상은 ▲매점매석 의심이 있는 경우 ▲가격을 5배이상 높게 판매하는 경우 ▲온라인몰 주문을 판매자가 일방적으로 취소한 경우 ▲온라인몰 주문에 대해 판매자가 장기간 배송을 지연하는 경우 등이다.

공정위는 ‘매점매석 신고센터’ 공동 운영에 따라 신속한 신고·접수와 더불어 소비자단체의 광범위한 채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관련기사
- 마스크 있는 데 '없다'며 주문 취소한 업체 조사2020.02.18
- 현대홈쇼핑 마스크 판매로 사이트 먹통...소비자는 분통2020.02.18
- 마스크, 없어서 못팔고 있어도 못판다2020.02.18
- "서버실 갇힌 AI는 끝"…산업 현장 뛰어든 피지컬 AI, 생태계 재편 시작2025.10.05
한국소비자원은 매점매석 행위 신고와 관련, 1372 소비자상담센터로 신고 접수되는 사항 등을 매일 식약처와 공유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1372를 통한 신고 접수가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행정 지원 등을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매점매석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신고에 따라 보건용 마스크 품귀현상에 편승해 411만개를 사재기한 업체를 현장 조사해 적발할 수 있었다”며 “소비자단체와 정부가 협력해 신고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시장교란 행위를 차단하는 등 코로나19 사태의 조속한 진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