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뉴 그랜저 출시...사상 최다 3만2179대 사전계약

가격 3천294만원부터 4천489만원까지

카테크입력 :2019/11/19 10:30    수정: 2019/11/19 11:40

현대자동차가 19일 더 뉴 그랜저를 출시했다. 지난 4일부터 18일까지 11일 간 진행된 사전계약대수는 3만2천179대로 그랜저 역사 상 최다 기록이다.

현대차에 따르면 더 뉴 그랜저는 기존 6세대 그랜저가 가지고 있던 국내 사전계약 최다 실적을 갈아치웠다.

더 뉴 그랜저의 사전계약대수는 기존 6세대 그랜저가 사전계약 14일 간 기록했던 2만7천491대를 4천688대 차이로 넘어선 3만2천179대다.

현대차 관계자는 “더 뉴 그랜저의 사전계약대수는 페이스리프트 모델이 기존 풀체인지 모델을 뛰어넘은, 한국 자동차 산업 역사상 전무후무한 대기록”이라고 자신했다.

더 뉴 그랜저 사전계약 첫 날 사전계약대수는 1만7천294대로 지난 2016년 11월 출시한 6세대 그랜저가 보유하고 있던 역대 최다 첫날 사전계약 대수 1만5천973대를 무려 1천321대 초과 달성했다.

더 뉴 그랜저는 ▲2.5 가솔린 ▲3.3 가솔린 ▲2.4 하이브리드 ▲3.0 LPi 등 총 네 가지 라인업을 갖췄다.

2.5 가솔린 모델은 최고출력 198ps(마력), 최대토크 25.3 kgf.m에 복합연비는 기존 대비 6.3% 개선된 11.9km/l(17인치 타이어 기준)를 기록했다. 차세대 스마트스트림 G2.5 엔진을 신규 적용해 기존 2.4 가솔린 모델 대비 연비와 동력성능, 정숙성을 모두 개선했다는 것이 현대차 설명이다. 새 엔진은 속도와 RPM(분당 회전수)을 고려해 MPI(간접분사) 또는 GDi(직접분사) 방식을 선택, 연료를 최적으로 분사한다.

현대차 더 뉴 그랜저(사진=현대차)
현대차 더 뉴 그랜저 (사진=현대차)
64색 엠비언트 라이트가 적용되는 현대차 더 뉴 그랜저 실내 (사진=현대차)

3.3 가솔린 모델은 최고출력 290ps(마력), 최대토크 35.0kgf.m의 힘을 발휘하며, R-MDPS(랙 구동형 파워스티어링) 적용을 통해 고속 주행 시 조향 응답성을 강화했다. 18인치 휠이 적용된 3.3 가솔린 모델의 공인 복합 연비는 9.7km/l다.

2.4 하이브리드 모델은 최고출력 159ps(마력), 최대토크 21.0kg.m의 힘을 발휘하며 복합연비가 16.2 km/ㅣ(17인치 타이어 기준)다.

3.0 LPi 모델은 최고출력 235ps(마력), 최대토크 28.6kg.m의 힘을 내며 LPi 탱크를 기존 실린더 형태 대신 원형으로 새롭게 적용해 트렁크 적재 공간을 키웠다.

더 뉴 그랜저의 실내는 64색 앰비언트 무드 램프와 현대차 최초로 탑재된 터치식 공조 컨트롤러 등이 들어갔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동급 최고 수준의 12.3인치 클러스터(계기판)와 12.3인치 내비게이션이 경계가 없는 심리스(Seamless) 형태로 구성됐으며, 현대차가 신규 개발한 그래픽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User-Interface)인 ‘아쿠아(AQUA) GUI’를 처음 적용했다.

더 뉴 그랜저에는 ▲고속도로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용도로까지 확대 적용된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 ▲차량 후진 시 후방 장애물을 감지해주는 ‘후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PCA)’ ▲운전자가 방향 지시등을 켜면 후측방 영상을 클러스터에 표시해 안전한 주행을 도와주는 ‘후측방 모니터(BVM)’ ▲정차 후 후측방 접근 차량을 감지하면 뒷좌석의 문을 잠그고 경고해주는 ‘안전 하차 보조(SEA)’ ▲스마트키를 이용해 차량을 앞, 뒤로 움직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주차와 출차를 편리하게 하도록 돕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 등이 들어갔다.

더 뉴 그랜저의 판매가격은 ▲2.5 가솔린 3천294만원~4천108만원 ▲3.3 가솔린 3천578만원~4천349만원 ▲2.4 하이브리드 3천669만원~4천489만원(세제혜택 후) ▲일반 판매용 3.0 LPi 3천328만원~3천716만원으로 확정됐다.

관련기사

가솔린 및 하이브리드 모델의 트림별 차량 가격은 ▲프리미엄 3천294만원~3천669만원 ▲익스클루시브 3천681만원~4천12만원 ▲캘리그래피 4천108만원~4천489만원이다. (개별소비세 3.5%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