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그리드, 드디어 실생활에서 체험한다

산업부, 서울·광주 체험 단지 가동…전기요금제 선택하고 신재생에너지 판다

디지털경제입력 :2019/10/20 18:48    수정: 2019/10/20 19:12

스마트그리드 개념도 (출처=스마트그리드협회 2012년 보고서)
스마트그리드 개념도 (출처=스마트그리드협회 2012년 보고서)

# 가정주부 A씨는 새로운 전기요금제도를 선택하고 전기요금을 아끼고 자신만의 전력사용 패턴을 만들었다. 기존에는 가정에서는 한 가지 요금제도 밖에 사용할 수 없었지만 전기재판매사업자가 등장하면서 여러 가지 요금제 가운데 가장 유리한 상품을 골라 가입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또 아파트 유휴부지에 공유형 태양광발전을 설치한 조합에 가입해 용돈도 쏠쏠하게 챙겼다.

한국전력이 전력공급을 독점하는 상황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 현실 생활에 적용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소비자가 직접 참여해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구현하는 체험단지를 서울과 광주에 조성한다.

산업부는 지난 7월 ‘미래형 스마트그리드 실증연구사업’ 신규과제를 공고한 결과 5개 컨소시엄이 접수해 SK텔레콤(광주광역시)와 옴니시스템(서울특별시)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돼 이달부터 4년 동안 새로운 스마트그리드 서비스를 실증한다고 20일 밝혔다.

SKT 컨소시엄은 ‘빛(光) 고을(州)에 똑똑한 빛이 그려진다’는 목표로 광주광역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실증할 계획이다.

광주광역시 소재 아파트 7천 세대를 대상으로 계시별 요금제와 전력수요관리를 포함하는 요금제 등 다양한 전기요금제를 운영한다. 계시별 요금제(TOU·Time Of Use)는 시간대별 차등 요금제로 경부하시간대에는 낮은 요금을, 최대부하 시간대에는 높은 요금을 부과하는 요금제다. 또 전력수요관리(DR·Demand Response)는 전기사용자가 사전 계약한 사용전력을 줄이면 보상금을 지급하는 서비스다. 스마트가전이나 소비자의 절감전력 등을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원격검침 인프라(AMI) 개념도 (자료=스마트그리드협회 2012년 보고서)

500세대 2개 단지를 대상으로 아파트 옥상 등 공용부지에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생산한 전력을 활용한다. 전기차 배터리를 재활용한 이동형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을 제작해 특정시점에서 전력사용량이 급증하는 건물(예식장·상가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옴니시스템 컨소시엄은 주민 참여로 만들어진 신재생에너지를 주민들이 직접 소비하는 ‘스마트 에너지공동체’를 서울에서 실증한다.

서울 소재 아파트 2천 세대, 저층주거·상가·빌딩 등 1천 세대를 대상으로 선택형 요금제를 운영하고 공용부지에 설치된 태양광 설비를 이용해 생산한 전력을 공동체에 공유한다. 가정용 태양광 발전설비와 같은 분산된 전원을 통합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관리하는 서비스도 실증한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SKT·옴니시스템 컨소시엄이 소비자 선택권과 편의를 높이며 경제성을 갖춘 스마트그리드 사업모델을 발굴할 수 있도록 법·제도적 제약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없었던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규제샌드박스 적용, 실증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소비자가 동참하는 스마트그리드 단지는 기술 및 공급자 중심에서 사람 및 수요자 중심의 에너지공동체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라며 “이러한 실증에서 소비자가 능동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거나 수요패턴을 조절하는 프로슈머 재탄생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