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FP "블록체인으로 난민 10만명 지원, 신원인증에도 적용 가능"

[UDC 2019] 후만 하다드 신기술 책임자 "현금 지원, 효과적 관리 가능해"

컴퓨팅입력 :2019/09/05 15:43

유엔세계식량계획(WFP)이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지금까지 10만 명 이상의 난민을 지원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난민 신원(ID) 관리 시스템도 적용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5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2019)에서 후만 하다드 WFP 신기술 책임자는 블록체인 기술이 인도주의적 애플리케이션에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발표했다.

WFP는 기아 퇴치를 목적으로 하는 국제기구다. WFP는 2017년부터 요르단에서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빌딩 블록스'를 운영해 난민을 지원하고 있다. '빌딩 블록스'를 통해 난민은 체크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생체정보를 바탕으로 난민캠프에 있는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구매할 수 있다. 난민의 구매 내역은 이더리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후만 하다드는 "빌딩 블록스를 통해 오늘날까지 6천3백만 달러가 난민에게 제공됐으며, 3백만 건의 거래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백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한 효과도 있었다"며 "이미 개발 비용을 회수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후만 하다드 WFP 신기술 책임자는 5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한 인도주의적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발표했다. (사진=업비트)

그는 WFP의 최근 활동은 주로 CBT(현금기반지원)라며, CBT 활동이 연간 78%씩 늘어나고 있으며, 현재 CBT 규모는 18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는 "WFP는 이전에는 기아 퇴치를 위해 옥수수나 쌀 같은 현물 식량을 제공했다면, 지금은 현금을 제공해 식량을 직접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CBT(현금기반지원) 활동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금을 제공하게 되면 난민이 스스로 원하는 식량을 선택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식량을 직접 가져오지 않기 때문에 지역 경제 활성화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현금을 지급하게 되면 문제점도 존재한다. 누가 무엇을 제공하는지 파악하기 어려워진다는 점이다. 그는 "현금을 지급하기 위해서는 은행이나 온라인 은행을 이용해야 하는데, 이 시스템은 파편화돼 있다"고 말했다. 또 중개자를 거치기 때문에 비용도 많이 들고, 진행 속도도 더디다는 지적이다.

이에 후만 하다드는 "블록체인을 이용하면 투명성과 상호호환성이 높아져 누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는지 확인이 가능하며, 가시성이 확보돼 수혜자가 필요로 하는 여러 다른 국제기구와도 연결해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후만 하다드 WFP 신기술 책임자가 5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린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후만 하다드는 블록체인을 통한 현금 지원뿐 아니라, 난민의 ID관리에도 블록체인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11억 명의 사람들이 신원 확인을 할 수 없어 은행 서비스,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난민의 경우 자신의 신원을 확인하고 증명하는 데 굉장히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신원 정보가 파편화돼 다른 나라로 이동하게 되면 신원을 또다시 증명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따라 "블록체인을 통해 은행 기록, 의료 기록, 취업 기록 등의 ID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면 신원을 쉽게 증명하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며 "ID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신중히 찾고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뿐 아니라 암호화폐도 이론적으로 이점이 있다고 언급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를 사용하게 되면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들도 거래를 할 수 있으며, 거래 기록을 남길 수 있어 기부금의 가시성도 높아진다는 설명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그는 "WFP에서 사용하기에는 암호화폐의 변동성, 보편성, 적법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모호한 부분이 있다"며 "암호화폐의 보편적 사용을 위해서는 스테이블 코인이나 정부가 발행하는 암호화폐를 기다리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암호화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이 있어야 하는데, 아직 인프라 구축이 안 돼 있는 나라가 많다는 지적에 "구글, 페이스북과 같은 여러 기업이 보편적 인터넷 사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스마트폰 비용도 점점 줄어들면서 사용자도 늘어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