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시장 봄맞이를 위한 5가지 해결과제

[이슈진단]블록체인, 위기인가 기회인가(하)

컴퓨팅입력 :2019/03/20 10:04    수정: 2019/03/25 08:59

임유경, 황정빈 기자

블록체인 산업이 짧은 버블을 지나, 긴 침체기를 지나고 있다. 블록체인은 짧지만 강렬했던 버블 기간 동안 어느 산업의 그것보다 극심한 부작용을 맛본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버블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산업 안으로 관심과 투자가 집중된 덕분에, 기업들이 당분간 성장할 자양분이 마련됐다. 이제는 얼마나 지속될지 모르는 침체기를 슬기롭게 넘어갈 준비를 해야 할 때다. 블록체인 산업이 버블기, 침체기를 지나 폭발적인 성장기를 준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3회 기획 시리즈로 짚어본다. [편집자주]

이제는 업계를 둘러싼 거품이 빠지고 혹한기를 보내고 있지만, 봄은 곧 다시 찾아온다는 게 업계의 믿음이다. 하지만 버블 기간 블록체인 산업이 경험한 부작용을 성장통의 일환이라고 생각한다면 봄은 생각보다 쉽게 찾아오지 않을 수 있다. 문제가 제대로 극복되지 않으면 제2의 혹한기가 언제 또 닥칠지 모르는 일이다.

지금의 혹한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버블 당시 드러난 산업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진단하고 제대로 된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 블록체인 업계가 하루빨리 봄을 맞이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일까.

[사진=PIXABAY]

ICO, 개인 투자자가 참여해도 되는 시장 맞나?

블록체인 업계가 사기와 투기로 비춰지게 된 데에는 암호화폐공개(ICO)가 큰 부분을 차지했다. ICO는 암호화폐를 발행해 초기 블록체인 개발 비용을 모금하는 새로운 투자유치 방법이다. 벤처캐피탈(VC)을 통한 투자 유치보다 훨씬 간단하게 많은 자금을 모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장점이자 단점이다.

실험적인 아이디어를 시도해 볼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점은 ICO의 긍정적인 부분이다. 크립토 금융 전문 업체 체인파트너스 한대훈 이사는 "기존에는 신생 벤처들이 투자받기 굉장히 힘든 상황이었는데 ICO는 코인 발행을 통해 빠르고 쉽게 투자를 가능하게 한 장점이 있었다"며 "ICO의 처음 취지 자체는 좋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이디어만 가지고도 투자를 유치할 수 있다는 점을 악용해 실현 가능성 없는 ICO가 우후죽순 등장했고, 묻지마 투자를 부추겼다. 정부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하고, 암호화폐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규제에 나선 것도 이 때문이다.

한 이사는 "재무건전성이 안 좋은 기업이 블록체인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자금을 확 당겨 어려운 재무 상황을 타개하려 하고, 한탕을 노리고 큰돈을 단시간에 벌어 보려는 사람들이 ICO를 하면서 부정적인 면이 드러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돈이 몰리는 시장에 사기꾼들이 꼬이는 것은 어쩌면 피할 수 없는 현상이다. 하지만, 블록체인 산업이 특수했던 점은 매우 초기 단계 기업에 일반 대중들이 투자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전까지 이런 극단적인 초기 기업에 대한 투자는 고위험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엔젤 투자자들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큰 잡음이 없었다.

코인원 공태인 리서치센장은 "극단적인 초기 아이디어 시장이 개별 투자자에게 열린 게 문제였다"며 "2017년, 2018년을 다 합쳐도 몇 조원밖에 안되는 매우 작은 시장인데 투자자 수는 어마어마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 센터장은 "작년 초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소를 폐쇄한다고 한다는 말을 꺼낼 게 아니라 기관 투자자 또는 개인 전문 투자자격을 갖춘 사람에게만 거래를 한정한다고 했다면 시장은 달라졌을 수도 있다"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지난 1년간 일반 투자자들도 ICO가 매우 고위험 투자라는 점을 학습한 만큼 앞으로 자연스럽게 부작용이 줄어들 수도 있다.

블록체인 투자전문 업체 해시드의 김균태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이제 대중들도 학습이 됐기 때문에 계획만 가지고 있는 ICO팀에는 투자하지 않는다"며 "암호화폐 하락장을 겪으면서 일반 투자자들도 (초기 단계 기업 투자에 있어서) 더 꼼꼼하게 따져보고 현명하게 판단하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사진=PIXTA]

블록체인 기업, 아마추어리즘 이제는 벗어나야

블록체인 업계는 새로 생긴 산업인만큼 기업의 운영 방식에서도 곳곳에 허점이 드러났다.

먼저 암호화폐로 투자를 받으면서도, 가격 변동성에 대한 대비가 부족했던 점이 큰 실수다.

싱가포르 블록체인 컨설팅 업체 젠가K의 안태현 대표는 "200-300억씩 크게 투자를 받으면서 그 비용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며 "이렇게 받아 놓고도 결국 헷지(위험 대응)하지 못하고 리스크 관리하지 못해 3분의 1토막 나버렸다"고 꼬집었다.

블록노드커뮤니케이션 이태희 마케팅 팀장은 일부 블록체인 업계 타격을 받았던 이유로 “시장에 대한 과도한 희망으로 인한 무리한 확장”을 꼽으면서도 “새로운 산업이다 보니 전문 파이낸스팀조차도 경험해보지 못했던 금융 생태계였다"면서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고 부연했다.

블록체인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디라이트 조원희 대표 변호사는 “블록체인 기술 발전 속도가 생각보다 느리고, 메인넷도 이미 나왔어야 하는데 이제 나오고 있다”며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 적었고 시장을 너무 쉽게 봤던 것 같다”고 평가했다.

공태인 센터장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을 만나보면 '토큰'이라는 게 뭐고 왜 필요할까 생각하는 사람이 의외로 적다"고 지적했다.

[사진=PIXTA]

블록체인 산업 내 자정작용 필요…"투자자 보호와 투명성 강화해야"

업계는 한편으로는 이런 신산업을 둘러싼 거품이 당연한 신산업의 성장 과정이라고 입을 모으면서도, 외부적인 문제뿐 아니라 내부의 자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대훈 이사는 "크립토 윈터를 만들어 낸 데에는 외부요인보다 내부요인이 크다고 본다"며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내놓는 곳 중에 진정성이 의심되는 곳이 많아지고, 밋업을 가도 (프로젝트에는 관심 없는 사람들에게) 에어드랍만 나눠주는 데 누가 이걸 보고 블록체인이 세상을 바꿀 거라고 외부에서 생각하겠나”라고 지적했다.

투자자 보호와 투명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 이사는 이를 위해 법제화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 이사는"지금이야 백서 한 장 내놓고 ICO를 하고 있는데 주식 발행할 때처럼 자본금이 얼마인지 등을 공시하듯 투명하게 하고, 투자자 보호도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등 명확하고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금의 ICO 시장은 투자자 보호가 전혀 안 된 상태에서 음지에서 다단계도 이뤄지고 있다”며 “혼탁한 ICO 시장을 양성화시키는 작업이 먼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싱가포르 ICO 컨설팅 기업 젠가K 안태현 대표는 “블록체인이 투명하다고 얘기하지만, 회사를 운영하는 방식은 하나도 안 투명하다”며 “업계가 투명하게 재무정보를 공개하고 경영해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부, 명확한 가이드라인 필요…"글로벌 스탠다드만이라도"

정부의 이분법적인 시각도 블록체인 업계의 혹한기를 만드는 데 일조했다.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하고, 암호화폐를 ‘애써’ 무시하려는 정부의 기조가 업계의 성장엔진을 떨어뜨린다는 평가다.

하지만 정부에 대한 업계의 바람은 크지 않았다. 이미 여러 차례 정부의 입장을 확인했기 때문일까. 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규제 혹은 정책이 나왔으면 좋겠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대체적으로는 이제 와 어설픈 규제를 만드느니, 회색지대로 내버려 두는 게 차라리 낫다는 의견도 상당수 존재한다.

한대훈 이사는 “전세계적으로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하는 움직임이 아니다”라며 “앞서갈 게 아니라면 적어도 글로벌 스탠다드만이라도 맞춰야 한다”고 피력했다.

이오스의 글로벌 태스크포스 멤버인 김나은 씨는 “정부에서 (ICO든 STO든) 다 안된다고만 하니 굉장히 답답했다”며 “정책까지는 아니더라도 가이드라인이라도 빨리 나오는 게 좀 더 바람직한 길이 아닌가 한다”고 토로했다. 이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는 어느 한 쪽이 규제를 받게 되면 다른 한 쪽(블록체인)을 아무리 장려한다해도 가능하다고 보지 않는다”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그냥 회색영역에서 사기만 낮추는 방향으로 가는 게 낫다”고 덧붙였다.

공태인 센터장도 “이제는 오히려 규제를 계속 안했으면 좋겠다”며 “어설프게 규제했다가는 P2P시장처럼 산업이 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대로 규제 공백보다 강한 규제가 낫다는 의견도 있다. 이태희 팀장은 "기술은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자 자산을 보호할 수만 있다면 강한 규제가 나와도 된다고 본다"며 “규제가 아예 없는 게 문제지 규제가 있으면 거기에 맞춰 서비스를 만들면 된다"고 주장했다.

[사진=PIXTA]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근본적 질문 해결해야…"실 서비스 나와야"

무분별한 투자, 기업 운영, 정부 방침 등 여러 문제점이 있지만 블록체인 산업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의구심이다.

결국 블록체인 업계가 봄을 맞으려면, 블록체인 기술이 정말 우리 삶을 바꿀만한 유용한 기술인지, 암호화폐가 내재적 가치가 있는 것인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답을 내놓아야 한다.

업계도 많은 사람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대중적인 서비스가 나와야 블록체인 기술이 효용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다.

한대훈 이사는 “사람들이 많이 쓰는 잘 만들어진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나올 때 블록체인을 바라보는 인식이 바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균태 CTO는 “애플리케이션이 먼저 나오고 이 애플리케이션이 역으로 플랫폼을 압박해 기술 레벨을 올리고 이를 통해 이용자들도 더 유입되는 선순환 구조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즉, 대중적 서비스의 등장이 결국 플랫폼 기술 발전을 촉진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 증가와 토큰의 내재적 가치 형성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김 CTO는 “사용자경험(UX)을 개선하는 등의 노력으로 진입장벽을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금은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디앱·DApp)을 쓰려면 토큰을 사기 위해 거래소에 가입해야 하고, 모바일 월렛을 깔아야 하는 등 진입장벽이 너무 높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김나은 씨는 “초창기 디앱은 인터넷이 처음 나왔을 때처럼 아는 사람들만 쓰는 서비스일 가능성이 크고 그 이후에 일반 대중에 친근한 방식의 서비스가 나올 것”이라며 “최소 몇만에서 몇십만의 유저가 있어야 킬러 디앱이라 말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1편부터 보기...

------------------------------------------------------------

[글 싣는 순서]

①블록체인 혹한기...기업은 망해도 기술은 발전한다

②블록체인 기업이 더 망해도 괜찮은 이유

관련기사

③블록체인 시장 봄맞이를 위한 5가지 해결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