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코리아, 올해 HCI·SDN 리더십 확보 주력

[글로벌 기업 CEO 인터뷰 ③] 조범구 시스코코리아 대표

컴퓨팅입력 :2019/02/17 11:49    수정: 2019/02/17 11:52

"시스코는 매출의 30% 가량을 매년 혁신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업계 지향점을 만들고, 항상 경쟁사와 6개월~1년의 기술 격차를 두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조범구 시스코코리아 대표는 2018년을 "포지셔닝이 잘 된 한 해"로 평가했다. 기술 확보에 선제적으로 투자한 성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기술 혁신을 중시한 결과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기술로 업계 입지를 굳히고,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 관련 사업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내는 등 기분 좋은 실적을 거뒀다는 설명이다.

올해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온 SDN 사업을 안정적으로 이끌어가는 동시에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HCI) 등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조범구 시스코 코리아 대표

■"올해 멀티 클라우드 확산 본격화" HCI 사업 시동

조 대표는 퍼블릭·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다수의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멀티 클라우드 이용 행태가 늘어남에 따라 올해 시스코 클라우드 솔루션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를 사용하는 데 있어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각 클라우드 환경에 용이하게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배포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보유한 솔루션 '클라우드 센터'가 그런 역할을 합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 중앙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 배포해줍니다. 대형 병원에서 특히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병원, 학교 등 여러 데이터를 관리하면서 높은 보안 수준이 요구되는 공간에서는 각 연구실, 실험실마다 동일한 보안 및 컴퓨팅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이런 환경을 지원하는 시스코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는 뜻이다.

클라우드 도입 확산에 따라 멀티 클라우드 이용을 돕는 하이퍼컨버지드인프라(HCI)도 올해 시스코코리아가 주력하는 제품군 중 하나다.

"HCI 분야에선 저희가 후발주자이긴 하지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의 HCI 분야 매직 쿼드런트에도 이름을 올리는 등 전망이 어둡지 않다고 봅니다. 시장도 고속 성장하고 있고요. 국내에서 많은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고, 다음달에도 대기업 고객사가 우리 HCI를 채택하는 발표가 있을 예정입니다."

2018년 11월 가트너 HCI 매직 쿼드런트

■"보안·성능 강화한 SDN으로 네트워크 리더십 확보"

SDN 사업은 지속적인 기술 혁신으로 경쟁 우위를 만들겠다는 방침이다.

소프트웨어 정의 WAN(SD-WAN)이 그 일환이다. 일반 인터넷 회선으로 전용 네트워크 회선 이상의 성능을 구현해준다. 해외 적용 사례를 볼 때 전용 회선 이상의 서비스 품질을 보였다는 설명이다.

지난 2013년부터 진출한 사이버 보안의 경우 매출 비중이 크진 않지만 시스코에서 중시하는 사업이다. 5G가 도입되는 등 네트워크가 고도화됨에 따라 이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정의액세스(SDA)에 탑재된 암호화 트래픽 분석(ETA) 기능의 경우 네트워크 단계에서 멀웨어를 탐지해준다. 지난 2017년 7월 출시돼 대기업 고객사 대부분에 기술이 적용됐다.

■"5G 깔린 스마트시티, 다양한 비전 고려 가능"

시스코는 국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와도 인연이 깊은 회사다. 지난 2009년에는 부산시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부산 그린 유시티 전략계획'을 수립했다. 이듬해에는 인천시와 송도국제도시 스마트시티 사업 추진 협약을 맺고 스마트시티 글로벌 센터를 열기도 했다.

"인도 소재 스마트시티 사업부 인력이 송도에 와서 1년 이상 일하는 등 송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에는 굉장히 공을 많이 들였어요. 그런데 이렇게 공을 들여서 나온 좋은 아이디어들이 송도가 아닌 중국, 인도 등 해외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점이 아쉽습니다."

조 대표는 중국, 인도 지역에서만 150개 가량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며, 지자체의 속도감 있는 의사결정이 스마트시티 사업 활성화의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도시 비전이 만족스럽게 세워지면 빨리 치고 나갈 수 있어야 해요. 스마트시티는 정부의 비용 집행에 따라 사업 진척이 결정되는데, 최저가를 우선시하게 되면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가 나와도 도입되기 쉽지 않습니다."

(사진=PIXTA)

스마트시티 개발 후 장기적 운영에 대한 구체적 대책이 부족한 것도 국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의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외부 투자를 유치해 투자지출(CAPEX)은 마련해도, 운영비(OPEX) 재원은 지자체 예산에 포함돼 있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인프라를 구축하는 입장에서 수익 모델을 마련하면, 정부에서는 훨씬 낮은 수익성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되면 모든 서비스의 경제성이 사라지죠. 그러면 관제 솔루션 정도만 설치하고 사업이 끝납니다."

관련기사

자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스마트시티 모델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5G 상용화가 추진되면서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에 대해서는 다양한 비전을 고려할 수 있게 됐다고 예상했다.

"도시화가 많이 진행된 부산의 경우 차세대 네트워크인 5G가 구축되고 나면 이전 네트워크 한계를 극복해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아요. 고도화된 네트워크가 필요한 커넥티드 카 서비스가 예시가 될 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