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모바일 기기를 통해 이용자들의 위치를 추적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위치기록' 기능을 차단할 경우에도 계속 저장해 온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구글이 안드로이드 기기와 아이폰에 있는 자사 서비스들을 통해 이용자 위치 정보를 추적해 왔다고 AP통신이 13일(현지시간) 단독 보도했다.
AP에 따르면 프린스턴대학 컴퓨터 과학 연구원들도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해줬다.
■ "위치이력 작동 중단시켜도 분 단위로 관련 정보 저장"
구글 서비스들은 대부분 위치 정보를 사용할 경우 이용자들에게 동의를 구한다. 구글 맵 같은 경우 위치 정보에 접속할 수 있도록 허락하느냐고 묻는다. 이 요구에 응할 경우 구글 맵은 활동 이력을 타임라인에 기록한다.
하지만 분 단위로 기록된 이런 정보들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적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경찰들도 이 정보를 이용해 범죄 용의자 체포 영장 발급 등에 활용해 왔다.
그래서 구글은 위치 기록(Location History)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해 놨다. 문제는 위치 이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더라도 여전히 추적을 계속한다는 부분이라고 AP가 전했다.
AP는 “일부 구글 앱들은 위치 기록을 중단시키더라도 분 단위 위치 정보를 자동 저장한다”고 지적했다. 이를테면 구글 맵을 열기만 해도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또 안드로이드 폰에서 작동하는 자동 날씨 업데이트 때도 이용자가 정확하게 어느 지점에 있었는지 바로 집어낼 수 있다.
구글 안드로이드가 탑재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억 명 가량이 이 같은 위치 추적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AP가 지적했다. 아이폰에서 구글 맵이나 검색을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구글 측은 “위치 이력, 앱이나 앱 활동, 혹은 기기 단위 위치 서비스 등 구글이 이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은 많다”면서 “하지만 구글은 이런 도구들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언제든 위치 이력을 삭제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고 해명했다고 AP가 전했다.
■ "이용자들 정확한 의미 모른 채 정보이용에 동의"
이런 해명에도 불구하고 구굴의 위치 정보 추적은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시킬 가능성이 많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IT 전문 매체 씨넷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를 통해 이용자 8천700만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페이스북 사례를 예로 들면서 이번 사태가 최근 불거진 여러 개인정보 추적 건이 얼마나 심각한 지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특히 씨넷은 “이용자들이 IT 회사들에게 데이터 사용에 동의할 때도 정확하게 어떤 부분에 동의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 헌재는 왜 '위치정보 추적 위헌' 판결했나2018.08.14
- 댓글 논란 뒤에 거대한 쓰나미 몰려온다2018.08.14
- 구글, 위치 서비스 꺼도 정보수집...심카드 없어도 전송2018.08.14
- 중국 로봇여신 지아지아 "놀라워라"2018.08.14
구글은 지난 달 서드파티 앱 개발자들이 지메일에 있는 정보를 읽을 수 있도록 한 사실이 드러나 엄청난 비판을 받은 적 있다. 당시 구글은 이용약관에서 그 부분에 대한 동의를 받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이번 위치 정보 추적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구글의 데이터 추적 정책을 소비자들에게 혼란스러운 방식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씨넷이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