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휴대전화 '30년'…가입자 8만2천배 늘었다

첫해 784명→6천460만명…9일부터 역사박물관서 특별전시회

방송/통신입력 :2018/07/01 09:04    수정: 2018/07/01 09:05

우리나라에 휴대전화 서비스가 시작된 지 7월1일로 30주년을 맞았다.

SK텔레콤(대표 박정호)의 전신인 한국이동통신이 1988년 7월1일 아날로그(AMPS) 방식 기술을 이용해 휴대전화 서비스를 국내에 처음 선보인 지 30년째다.

아날로그(AMPS) 방식은 1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1984년 차량전화 서비스인 ‘카폰’에 처음으로 적용됐다.

휴대전화 서비스 첫 해에 784명에 불과했던 휴대전화 가입자 수는 1991년 10만 명, 1999년 2천만 명을 돌파, 올해 4월 기준으로는 6천460만627명에 달한다. 가입자수가 전체 인구수를 넘어선지는 8년이 넘었다.

무게가 771g인 국내 첫 휴대전화 ‘벽돌폰’은 30년 후 스마트워치,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스피커로 확대 중이다. 일례로 2016년 1월에는 사물인터넷(IoT) 신규 가입자 수가 처음으로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 수를 앞지르기도 했다.

휴대폰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과정에서 SK텔레콤은 1996년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2002년 세계 최초 CDMA 2000 서비스 상용화, 2013년 세계 최초 LTE-A 상용화 등을 이뤘다.

특히, 2003년 등장한 WCDMA(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국제로밍 확대, 화상전화, 멀티미디어 등의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2011년에는 LTE(4세대 이동통신)로 넘어오면서 끊김없이 동영상을 즐기고 원격으로 TV나 조명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은 5G 네트워크 준비와 함께 서비스, 생태계 확장에 주력할 계획이다. 산업 경계 없이 전방위 협력을 추진하고, 5G 생태계를 확대할 파트너과 함께 실질적인 사업 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2014년 처음으로 기가급 5G 통신을 국내 IT 전시회에서 시연한데 이어, 지난해 세계 최초로 5G 글로벌 표준 기반 데이터 전송에 성공, 올해 2월에는 두 대의 자율주행차가 통신하며 운행하는 것까지 시연한 바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HS마킷에 따르면 5G는 2035년까지 12조3천억 달러의 경제효과를 창출하고, 콘텐츠와 앱 개발 등 5G 연계된 시장에서도 3조천억 달러의 생산 유발효과, 2천200만개의 일자리 창출도 기대된다.

SK텔레콤은 5G 시대에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종합 ICT기업으로 변화하기 위해 유통, 보안,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등 이종산업 대표 기업들과 잇달아 손을 잡고 있다.

관련기사

윤용철 SK텔레콤 커뮤니케이션센터장은 “대한민국 이동통신 산업 발전과 궤를 같이 해온 지난 30년은 우리에게 큰 의미가 있다”며 “미래 이동통신은 5G를 통해 지금과는 전혀 다른 상상할 수 없는 가치를 창출하고 이를 소비자들이 곧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은 휴대전화 서비스 30주년을 맞이해 오는 9일부터 31일까지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서 휴대전화 30주년 기념 특별전시회를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