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국방·의료 분야에 AI 스며든다

공항 범죄 예방·군사지휘·응급환자 처치에 활용

일반입력 :2018/05/15 20:14

정부는 AI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특히 공공 분야의 인공지능(AI) 도입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15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발표한 AI R&D 전략 중'AI 대형 공공특화프로젝트'에 발표된 주요 AI 연계 분야는 안전, 국방, 의료 총 3가지다.

권용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부단장은 "해당 분야의 경우 정부가 데이터를 쥐고 있고, 데이터를 민간에 공유하거나 개방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며 정부 주도의 AI 발전 전략에 포함한 이유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AI 대형 공공특화프로젝트에 2천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 과정을 거치고 나면 오는 2020년부터 이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국제 공항 범죄율 20% 감소할 것"

정부는 향후 AI를 공항 치안 강화에 활용, 위험 대상 추적이나 이미지 분석 등을 통해 범죄?테러를 예방할 계획이다.

AI를 통해 움직이는 인물의 안면을 97% 이상 정확도로 인식하고, 1만명 이상의 인물이 화면에 담겨도 이를 식별해낼 수 있게 된다는 설명이다.

인천국제공항 전경.

또 음성, 영상 정보와 센서 등 정보를 활용해 목소리, 신체 비율, 걸음걸이 등을 확인, 위험 인물의 신변을 확보하고 미리 이상 행동을 탐지할 수 있게 된다는 것.

실제 도입은 법무부의 출입국 관리 데이터를 활용하고, CCTV 기반 객체 인식 과제 연계를 통해 시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제 공항의 범죄율이 20% 가량 감소할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AI 범죄 예방 계획은 제주 공항에 우선 적용, 순차 확대될 예정이다.

■AI가 육·해·공 전장상황 통제

정부는 향후 육·해·공군 작전 지휘에 고도화된 AI 의사결정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전장상황을 실시간 수집, 분석하는 AI가 지휘관이 곧바로 최적의 작전지휘통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끔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현재는 AI가 다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그치고 있지만, 향후 음성명령, 훈령정보, 편대전술 등 기계학습 기반의 비정형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최적의 지휘통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인간 지휘관과의 모의 교전을 통해 AI 시스템이 인간과 상호작용하며 사용자 맞춤형 최종 의사결정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군 의사결정의 오류 확률이 현재보다 30% 가량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AI 기반 응급처치로 골든타임 확보

정부는 의료 분야에서 AI는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살려낼 수 있는 '골든타임' 확보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봤다.

향후 AI를 통해 응급 환자가 병원에 연계되기까지 실시간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비정형 데이터 분석으로 초기 의료 처치 방법을 신속하게 도출, 지원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이는 소방청의 신고 음성 녹취 데이터, 응급 상황 시 의료·구조 자원 배치 기록, 병원의 질환별 응급의료 기록 데이터가 AI 고도화에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현재 2시간 이내 응급구조를 마치는 비율이 35%에 그치는 것을 90%로 끌어올려 생명 구조에 기여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