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반도체 가격인하 압박…韓 "예의주시"

메모리 가격 조사 시도 "대체재 없어 영향 미미"

일반입력 :2017/12/29 09:22    수정: 2017/12/29 19:52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최대 수요처인 중국이 한국산 메모리 반도체 가격 담합 의혹을 제기했다. 중국 정부는 직접 반도체 가격 조사를 진행하는 등 시장에 적극 개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다만 이같은 중국 정부의 대응이 메모리 공급 부족에 따른 일시적인 상황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타깃으로 지목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기술력에서 타 업체에 비해 크게 앞서 있어 이를 대체할 마땅한 제품이 없기 때문에 실제적인 가격인하가 이뤄지거나 제재를 받을 우려는 적다는 분석이 나온다.

업계 일각에선 중국 정부의 움직임이 국내 업체들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사진은 삼성전자 '자동차용 eUFS' 메모리 반도체 제품. (사진=삼성전자)

그러나 업계 일각에선 중국 정부의 움직임이 국내 업체들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국내 업체와 중국 기업간 격차가 아직까진 크게 벌어져 있다는 사실 때문이다.

차이나데일리는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로저 셩 연구원의 말을 인용해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강하다는 점에서 중국 정부의 조치가 향후 반도체 가격의 전망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셩 연구원은 "이미 반도체 칩 가격이 장기간 상승한 이 시점에서 중국 정부가 어떤 조치를 취할 지는 예단하기 어렵다"며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삼성과 같은 주요 기업으로부터 칩을 공급받는 것 외에 별 다른 옵션은 없다. 시장에 대체재가 없다"고 강조했다.

차이나데일리는 "중국 정부는 반도체 업체들에 법률을 준수하라는 정도의 경고를 내릴 가능성이 크다"며 "발개위가 반독점 혐의로 기업에 부과한 최대 벌금은 지난 2015년 퀄컴으로 9억7천500만 달러(약 1조830억원)였다"고 덧붙였다.

SK하이닉스의 72단 3D 낸드플래시 칩과 1TB SSD 제품 (사진=SK하이닉스)

중국 기업의 시설투자 자금이 대규모이고 시설 투자 의지도 그만큼 강하지만, 국내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크다는 분석도 나왔다.

업계에 따르면 양국 업체들의 기술 격차를 감안했을 때, 중국 업체들은 아직 낸드플래시 48단 이상의 적층 기술 적용이나 D램 38단 미만의 미세기술 적용이 힘든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김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산업의 본질은 가격과 출하, 원가로 나뉘는 데 결국은 원가 싸움"이라며 "중국에서 양산이 진행된다고 하더라도 원가 경쟁력 측면에선 국내 기업이 여전히 수 년 이상 앞서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지난 2015년 3분기에 중국 칭화유니그룹이 대규모로 메모리반도체 시설 투자를 감행한다는 보도 이후, 중국발 메모리반도체 공급과잉에 대한 우려가 불거졌다"면서 "그러나 실제로 중국 기업의 시설투자 방향은 구조적으로 양산하기 어려운 D램 대비 낸드플래시 중심으로 전환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