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1Q 순이익 9천971억…사상 최대치

전년比 29.3%, 전기比 62.9% 증가

금융입력 :2017/04/20 16:24    수정: 2017/04/20 16:39

송주영 기자

신한금융지주회사는 20일 실적발표를 통해 그룹의 2017년 1분기 당기 순이익 9천971억원을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분기 7천714억원 대비 29.3%, 4분기 6천121억원 대비 62.9% 증가한 실적으로 2001년 지주사 설립 이래 최대 분기순이익이다.

신한금융지주 로고

신한금융은 1분기 은행과 비은행 그룹사가 고른 경상 이익 개선을 실현한 가운데, 마진 반등으로 그룹의 핵심 이익 기반인 이자 이익의 흐름이 꾸준히 개선된 점을 실적 개선의 요인으로 꼽았다.

또 비용절감과 자원 재배치 가속화로 판관비가 감소했으며 리스크 관리 노력이 결실을 맺으며, 경상 기준 대손비용이 크게 감소한 점도 이익 증가의 요인이다.

신한금융그룹 관계자는 “특히, 그간 어려운 시장 환경 속에서 실적이 다소 주춤했던 주요 비은행 그룹사의 수익력이 회복돼 은행과 함께 그룹 손익 증가에 고르게 기여하면서 그룹의 경상이익 규모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됐다”고 말했다.

1분기에는 대손비용도 감소했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말 감독원으로부터 그룹 내부등급법 사용 승인을 받아 올해부터 신한카드 대손충당금 산출 방법이 변경되면서 약 3천600억원(세후 2천800억원)의 1회성 대손충당금 환입 요인이 발생했다. 환입을 제외한 그룹의 경상 대손비용도 전년동기 및 전분기 대비 각각 40% 이상 감소하며, 경상 대손비용률이 20bp 대로 진입했다.

■은행?비은행 경상이익 고른 증가세

신한금융그룹은 1분기 은행과 비은행의 경상적인 이익이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1분기 그룹 당기 순이익은 카드 충당금 환입 3천600억원(세후 2천800억원)을 제외하면 약 7천억원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이익 규모가 개선됐다.

또 그룹 수수료 이익도 은행의 수익 증대 노력에 힘입어 성장세를 회복했으며, 카드, 금투, 생명, 자산운용, 캐피탈 등 주요 비은행 그룹사들의 실적 개선과 비용 절감 노력을 통해 비은행 부문의 이익 기여도가 48%로 크게 높아지는 등 은행과 비은행 이익이 고른 증가세를 보였다.

그룹 및 은행의 순이자 마진 반등으로, 그룹의 핵심이익 기반인 이자이익도 1분기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지난 3년간 꾸준한 대출 성장을 통해 수익 자산이 축적됐고, 순이자 마진의 반등이 실현되면서 그룹의 이자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9% 증가했다.

그룹 및 은행 순이자마진은 작년 6월 기준금리 인하 후에도 안정세를 유지하며, 수익성에 기반한 대출 운용과 유동성 핵심예금 증대를 통해 전분기 대비 각각 4bp 반등했다.

그 결과, 그룹의 이자이익은 1조8천700억원을 기록하며 3분기 연속 1조8천억원을 상회하는 이자이익 흐름을 이어갔다.

더불어 그룹 차원의 전략적 비용절감과 자원 재배치 노력으로 판관비가 감소했다.

신한금융은 지난 2012년부터 그룹차원의 전략적 비용 절감을 중기 핵심 전략 과제로 정하고 매년 전사적인 비용 효율화를 추진해 왔으며, 희망퇴직 제도를 활용한 인력구조 개선도 함께 실행해 왔다.

그 결과, 2015년부터 판관비 안정화가 가시화되기 시작해 2015년과 2016년의 판관비 증가율을 1% 미만으로 최소화 했고, 이번 분기에는 판관비가 전년동기 대비 0.7% 감소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특히 올해부터는 단순한 비용절감을 넘어, 성장부문으로의 자원 재배치를 가속화 해 미래 성장을 도모하는 한편, 그룹 내 겸직과 위수탁을 활용해 비용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제고해 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신한금융그룹은 1분기 영업이익 증가에도 오히려 판관비는 감소하면서 그룹의 영업이익경비율은 49.1%를 기록하며, 전년동기 52.5% 대비 3.4%p 개선됐다.

그룹 차원의 일관된 리스크 관리 노력이 결실을 맺으며, 경상 대손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1분기 그룹의 대손비용은 1천965억원 순환입을 기록했는데, 여기에는 1회성 카드 충당금 환입 효과가 포함됐다.

신한금융그룹은 대손충당금 관리체계의 일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올해부터 카드사의 대손충당금 산출시 내부등급법을 사용하게 됐다. 기존 신한카드는 오랜 기간 전이율 방법을 사용해 다소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쌓고 있었는데, 이번 분기부터 신규 모형을 적용해 충당금을 산출한 결과, 약 3천600억원(세후 2천800억원)의 1회성 대손충당금 환입이 발생했다.

하지만, 1회성 환입 요인을 제외하더라도 이번 분기 그룹의 경상 대손비용은 약 1천700억원 수준으로, 이는 전년동기 및 전년말 대비 40% 이상 감소한 수치다. 특히 은행의 대손비용율이 전년 33bp에서 12bp로 대폭 개선됨에 따라 그룹의 경상 대손비용률도 기존의 40bp 대에서 20bp 대로 크게 개선됐다.

■신한은행 1분기 순이익 전년比 7% 감소

주요 그룹사별 경영성과를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1분기 순이익은 5천346 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7% 감소했으나 작년 1분기에 인식한 법인세 수익 (이연법인세 자산) 1천900억 효과를 제외하면 경상 수준의 당기순이익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전 분기 대비로도 순이익은 24.7% 증가했다.

신한은행의 순이자마진은 1.53%로 전분기 대비 4bp, 전년동기 대비 5bp 상승했으며, 분기중 대출 자산은 가계대출 성장둔화로 0.5% 감소했다. 이에 이자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9.8% 증가했고, 전분기 대비는 소폭 (-2.8%) 감소세를 보였다. 1분기 중 원화 예수금은 0.6% 감소했으며, 유동성 핵심예금은 증가하고 정기예금은 감소하여 예수금 비용률이 개선됐다.

비이자 부문은 작년 1분기 발생한 쌍용양회 주식선도 거래익(443억)과 같은 대규모 1회성 이익이 이번 분기에는 발생하지 않아, 수수료 이익 12%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5.6% 감소했다.

판관비는 종업원 관련비용과 일반관리비가 효율적으로 관리되면서 1.3% 증가에 그쳤으며, 영업이익경비율은 48.2%로 전년말 52.2% 대비 4%p 개선됐다.

또 대손비용은 전년동기 대비 72.8% 감소했다. 작년 1분기에는 해운업 및 조선업 구조조정 관련 충당금 전입이 증가했으나, 이번 분기에는 대규모 1회성 요인이 없었으며, 꾸준한 리스크 관리로 경상 대손비용이 크게 감소했다.

1분기말 신한은행의 연체율은 전년말 대비 소폭 증가한 0.33%를 기록했으나, 이는 전년 동기 및 전분기 대비 상매각 금액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NPL비율은 0.68%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1분기 신한은행 원화대출금은 중소기업 대출 증가로 기업대출이 0.8% 증가했으나, 가계대출 성장 둔화로 전체 원화대출금은 전년말 대비 0.5% 감소한 183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신한카드의 1분기 순이익은 4천1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0%, 전분기 대비 119% 증가했다.

1분기 취급액은 전년동기 대비 7.6% 증가해, 지급 수수료 증가와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도 불구하고 영업 이익은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충당금 산출 모델 변경에 따른 1회성 대손충당금 환입 요인이 약 3천600억원(세후 2천800억원) 발생해 당기순이익이 크게 증가했다.

1분기말 신한카드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은 1.40%, NPL비율 1.17%를 기록했고, 조정 자기자본 비율은 24.5%로 건전성과 자본적정성 모두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신한금융투자의 1분기 순이익은 46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11% 증가했다. 시장거래대금 감소로 위탁수수료 수익은 감소했으나, 수익증권 등 금융상품 판매 호조와 자기매매 부문 채권운용 수익 증가로 전년동기 대비 이익이 크게 개선됐다.

신한생명의 1분기 순이익은 3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7.6% 감소했으나, 전년동기 인식한 법인세수익(이연법인세자산)을 제외하면, 경상 이익은 오히려 증가세를 보였다. 보험영업 확대와 위험률차 손익 증가를 통해 수익성 회복을 추진해, 세전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관련기사

신한생명의 1분기 수입보험료는 1조2천285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 전분기 대비로는 0.3% 증가했다. 3월말 보험금 지급 여력비율(RBC 기준)은 178%로서 전년말 수준을 유지했다

신한캐피탈은 전년동기 발생한 해운업 관련 추가 대손충당금 전입 효과 소멸로 대손비용이 경상수준으로 회복하며 186억원의 분기순이익을 달성했다. 3월말 영업자산은 4조4천억원으로 전년말 대비 2.7%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