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중소 게임사 해외 수출 상담회 개최

국내 20개 게임사 참여

게임입력 :2016/08/09 16:10

국내 중소 게임사의 중국과 일본 시장 진출 지원을 위한 상담회가 개최됐다.

NHN엔터테인먼트(대표 정우진)는 한일경제협회(회장 김윤),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 한국모바일게임협회(회장 황성익)와 함께 게임업체 해외시장 진출 상담회를 9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했다.

황성익 모바일게입협회장은 "이번 상담회처럼 국내 업체의 진출을 돕는 행사가 활성화돼야 시장이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임업체 해외시장 진출 상담회.

산업통상자원부와 주후쿠오카대한민국총영사관의 지원으로 진행된 이번 상담회는 해외 진출을 위한 노하우 공유를 통해 국내 중소게임사의 일본, 중국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상담회는 디디디게임, 쿵게임즈 등 1차 서류심사를 통과한 국내 20개 게임사가 참가해 NHN 한게임 일본법인인 NHN한게임과 중국법인인 NHN 에스티 실무자들과 일대일 상담방식으로 진행됐다.

NHN엔터테인먼트는 상담을 진행한 후 양질의 게임을 선택해 일본과 중국에 서비스할 계획이다. 서비스 계약이 된 게임은 개발 진척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약 6개월 간의 조정을 거친 후 해당 국가에서 서비스 될 예정이다.

이종윤 한일경제협회 부회장은 "이번 게임 상담회는 세계적인 경제침체와 대외 수출부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에서도 꾸준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게임산업에 해외 진출 계기를 마련해 일본과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 촉진을 위해 마련했다"며 "먼저 해외시장에 진출해 현지화에 성공한 퍼블리셔와 협력해 해외시장 진출을 촉진해 시너지 효과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NHN한게임 박종채 모바일 사업부장, 황재호 대표, 석민재 팀장

행사장에서 만난 황재호 NHN한게임 대표와 박종채 모바일 사업부장, 석민재 팀장과의 질의 응답을 정리했다.

-NHN엔터는 개발사들에게 어떤 지원을 하게 되는가?

"먼저 두 국가에 서비스를 시작한 만큼 해당 시장의 성향과 트렌드를 개발사에게 알리고 이에 맞춰 게임을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한다. 그 밖에도 퍼블리셔는 개발사를 지원하기 위해 해야할 일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행사가 그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과 중국 시장의 특징이라면?

"중국은 한국보다도 더 역할수행게임(RPG)에 치우쳐 있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RPG가 아닌 새로운 장르를 통해 이용자에게 차별화를 두려 하고 있다. 일본은 PC, 콘솔게임기 등 각 기기에 따라 성향이 나눠져 있다. 콘솔은 높은 수준의 그래픽과 게임성을 위한 기기이고 온라인은 멀티플레이에 더 강점이 있다. 모바일게임은 퍼즐 같은 지하철에서 즐길 수 있는 게임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래도 최근 RPG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쉽고 간단하게 플레이할 수 있는 미드코어 RPG를 찾고 있다."

-두 지역에서는 플랫폼 의지도가 높은가?

"중국은 여전히 플랫폼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여전히 마니아를 대상으로 한 플랫폼도 유지 중이지만 머지않아 소수의 주요 마켓으로 통합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모바게, 그리 등 기존 마켓이 약화되고 라인이 부상했다. 다만 라인은 캐주얼 게임에 강세이기 때문에 이와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RPG 등의 이탈이 발생하고 있다."

관련기사

-최근 포켓몬 고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이 강세를 이룰 것으로 보이는가?

"나이언틱의 전작인 인그레스도 성과를 냈던 만큼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다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새로운 기술과 기존에 익숙한 것의 조합이 가장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IP가 더해지면서 이용자에게 어색함을 준 반면 포켓몬고는 20년간 익숙해진 콘텐츠와 새로운 기술이 더해 지면서 엄청난 파급효과를 발생시켰다.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에 어떤 콘텐츠가 붙는지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