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혈증 등 염증질환 치료 단백질 첫 발견

'세스트린2' 가 염증 반응 낮춰

과학입력 :2016/07/05 12:00

우리 몸의 대사를 조절하는 단백질 중 하나인 '세스트린2'라는 물질이 면역 질환인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발견했다. 현재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는 패혈증 등 면역 염증 질환 치료에 중요 단초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윤주헌·유지환 교수 연구팀(연세대)이 이같은 연구 성과를 거뒀다고 5일 밝혔다.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가 인체에 침입하면 우리 몸은 이를 방어하기 위해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 면역 반응이 적절히 조절되지 못하면 과도한 염증이 일어나고 장기를 손상시켜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등 오히려 우리 몸에 해로울 수 있다.

병원체가 침입하면 미토콘드리아(세포 내 에너지를 만드는 소기관)가 손상되는데 이것이 하나의 신호가 되어 면역 반응을 일으킨다.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자가포식(세포가 변성된 자기 단백질을 스스로 제거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과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는데 자가포식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으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가 많아지고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게 된다.

패혈증 모델에서 과도한 염증 반응을 억제하기 위한 세스트린2의 역할

연구팀은 세스트린2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해 염증 반응을 낮추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스트린2 결핍 생쥐와 정상 생쥐의 대식세포에 미생물 인자를 처리하고 염증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세스트린2 결핍 생쥐의 세포에서 염증 반응이 높았고 미생물 인자에 의해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는 더 많았으며 자가포식은 더 적게 일어났다.

이를 통해, 세스트린2가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자가포식을 통해 제거해 염증 반응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면역 반응에서의 역할이 잘 알려져 있지 않던 세스트린2라는 단백질이 효과적으로 염증 반응을 낮추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패혈증 등 각종 면역 염증 질환의 치료법을 찾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

관련기사

또한 세스트린2가 다양한 노인성 질환의 근본 원인이라고 생각되는 손상된 미토콘드리아를 제거하는데 관여 한다는 사실도 밝히면서, 면역 염증 질환 뿐만 아니라 다른 각종 질병의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윤주헌 교수는 “이 연구는 면역 반응의 대사 주요 단백질로 알려진 물질이 패혈증에서 면역 염증 반응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항생제 투여만으로 치료가 어려웠던 패혈증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패혈증 나아가 노인성 질환 등의 질병 치료법을 개발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