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대기업과 벤처의 상호 '윈-윈' 성과 창출을 위해 본격적인 상생협력을 강화한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은 15일 을지로 사옥에서 크레모텍과 씨메스, 패밀리 등 벤처업체 3곳과 지분 매입 방식의 직접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기존의 창업보육 중심의 벤처 지원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결과물이다. SK의 기획, 유통 등 밸류체인과 벤처의 혁신기술을 연계해 함께 윈-윈 성과를 거두겠다는 전략이 담겼다.
SK의 상생협력 강화는 보육 단계를 넘어선 벤처 업체들이 초반 '데스밸리'를 뛰어넘어 지속적인 성장 체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직접 투자와 판로 개척,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직접 지분투자
SK텔레콤은 투자와 추가 지원을 통해 벤처업체들이 기술 경쟁력을 높이고, 투자 유치와 판로 개척에 힘을 얻는 등 본격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벤처업체가 대기업의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만나 성장기반을 갖추고, 추가 투자 속에 본격적인 성장을 이뤄가는 창조경제식 선순환도 예상했다
레이저 피코 프로젝터 개발업체인 크레모텍은 SK텔레콤의 벤처 지원 프로그램인 '브라보!리스타트' 1기 업체다. SK텔레콤은 크레모텍의 높은 기술력을 이유로 펀드와 멘토링 프로그램의 제공 외에도 특허 9건을 이전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산업용 3D 스캐너 솔루션을 제공하는 씨메스와 반려동물을 위한 스마트 펫토이 '프렌즈봇'의 개발사인 패밀리도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드림벤처스타'의 1기와 2기 출신이다.
SK는 전략적 투자자로 크레모텍에 10억원, 씨메스에 9억원, 패밀리에 8억원 등 총 27억원을 지분 참여 형태로 투자한다.
■'우수벤처 Post-BI' 강화

장동현 SK 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은 인사말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업체를 대상으로 한 '우수업체 Post-BI(Business Incubator)' 등의 추가 지원 방안도 제시했다.
우수벤처 Post-BI는 혁신센터에서의 인큐베이팅이 종료됐거나, SK의 사업과 연계해 성장 잠재력을 갖춘 우수 벤처들이 초기의 성장 어려움을 극복하고, 양산 및 판매를 통한 안정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멘토링 ▲네트워킹 ▲사무공간 ▲비즈니스 협력 및 판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SK는 2017년 완공 예정인 대전 사이언스빌리지 공간을 활용해 Post-BI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나아가 글로벌 톱 수준의 벤처캐피탈과 공동으로 300억 규모의 글로벌 펀드를 조성, 벤처들의 투자 유치와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대학생 2만명에 2년간 창업교육을 제공하는 'SK청년비상' 프로젝트를 통해 대학생 대상 벤처 창업의 저변을 확대하는 노력도 이어갈 예정이다.
■상생 성과 창출 기대

SK는 이 같은 벤처업체와의 상생협력 노력들이 SK와 벤처업체의 서로 다른 밸류체인이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개방형 혁신'의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기사
- 이통 3사, 갤S7에 ‘더 빠른 LTE’ 적용2016.03.15
- SKT, 모바일 결제에 할인까지 ‘T페이’ 출시2016.03.15
- 갤S7, 지원금 대신 '20% 요금할인'이 더 경제적2016.03.15
- 갤럭시S7 11일 출시…어느 통신사 고를까?2016.03.15
또한 향후 재능 있는 인재들이 창업부터 제품의 구상과 개발, 출시는 물론 지속적인 성장으로 이어지는 창조경제 벤처 생태계의 선순환을 위한 좋은 롤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장동현 SK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은 "앞으로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성장한 벤처업체가 대기업의 가치사슬과 연계해 함께 성장하는 상생협력에 지속적으로 앞장 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