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자동차 시대가 눈 앞으로 성큼 다가왔다. 이에 따른 관련기술 개발과 특허 출원도 한창 진행 중에 있어 글로벌 특허 확보 전략이 절실한 시점이다.
구글의 구글카는 일반도로 주행실험을 시작한 2010년 이후 6년간 자율주행 모드로 약 195만km를 주행했고, 현대·기아자동차 역시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 시기를 오는 2020년으로 앞당기겠다고 밝힌 바 있다.
7일 특허청에 따르면, 자율 주행 관련 기술의 특허 출원은 올해 208건으로 2001년(23건) 대비 9배가량 늘었다. 특히 2007년부터 2015년까지는 연평균 21.8%의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정보통신 분야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107건, 8.36%), 삼성전자(37건, 2.89%) 및 구글(12건, 0.93%)이었고 자동차 분야는 현대차(48건, 3.75%), 만도(22건, 1.72%), 현대모비스 (19건, 1.48%) 등이었다. 이외에도 국방과학 연구원(67, 5.23%), KAIST (32건, 2.50%) 등이 다출원 순위 10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출원되는 주요 기술 분야는 센서·지도 기술(43.1%)이 가장 많았고 이어 주행경로 제어 기술(29.6%), 인터페이스·단말 기술(11.2%), 통신·네트워크·보안 기술(10.6%), 조향·액추에이터 기술(5.5%) 등의 순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국내 출원인이 글로벌 지식재산권 구축을 위해 PCT 국제특허출원을 이용하는 경우는 전체 출원의 3.22%에 불과했지만, 유일한 외국기업인 구글은 우리나라에 출원된 12건 모두 PCT 국제특허출원을 이용했다.
관련기사
- “아우디, CES 2016서 양산형 자율주행 기술 공개”2015.12.07
- ‘자율주행의 서막’ 준자율주행차 시대 개막2015.12.07
- "자율주행차량이 촬영한 영상, 실시간으로 받아 본다"2015.12.07
- 스마트워치로 조작하는 자율주행차 타보니2015.12.07
스마트 폰의 특허분쟁 경험을 감안하면 국내 기업도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국제적 특허분쟁을 대비해 기술개발에 더욱 매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구글의 출원 전략처럼 PCT 국제특허출원 제도를 잘 활용해 글로벌 지식 재산권 확보에도 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장완호 특허심사기획국장은 "자율 주행은 차량의 개념을 단순한 이동 도구에서 새로이 창출되는 생활·사무 공간으로 바꿔 놓을 것이라는 점에서 스마트 폰에 이은 21세기의 또 하나의 혁신이 될 전망"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혁신 기술의 글로벌 특허전략 수립을 위해 PCT 국제특허출원과 같은 유용한 제도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