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근로자의 55%가 비정규직…"원전 안전 담보할 수 있나"

최원식 의원 "비정규직 인력구조, 악영향"

과학입력 :2015/09/04 10:17

고도의 전문성을 필요로 하고 방사능 노출 위험이 있는 원자력발전소 근로자 가운데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으로 채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불안과 함께 원전 안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비정규직 원전 종사자에 대한 보호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최원식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4일 한국수력원자력이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인용, 한수원 4개 원자력본부 산하 12개 원전 종사자 1만5천775명 가운데 정규직은 45% 수준인 7천113명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비정규직 8천662명은 협력업체를 통해 간접고용된 상주인력이 5천237명, 파견 및 추가인력이 3천340명, 기간제 근로자 85명 등이다.

본부별로는 고리원자력본부만 정규직이 52%로 절반을 넘었을 뿐 나머지 3개 본부는 모두 비정규직이 더 많았다.

고리 1, 2호기와 신고리 1호기 등 3개 원자력발전소를 가동하고 있는 고리본부는 전체 인원 4천255명 중 협력업체 상주인력 1천371명(32%), 파견 추가인력 636명(15%), 기간제 25명(1%) 등 48%가 비정규직이다.

한빛 1, 2, 3호기를 가동하고 있는 한빛본부는 총인원 2천917명 중 협력업체 955명(33%), 파견-추가인력 544명(19%), 기간제 22명(1%) 등 52%가 비정규직이다.

관련기사

이외에도 한울 1, 2, 3호기를 가동하고 있는 한울본부는 4천461명 중 협력업체 1천574명(35%), 파견 추가 961명(22%), 기간제 57명 등 비정규직이 57%에 달했다.

최원식 의원은 “열악한 처우와 고용불안, 방사능 오염과 산업재해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비정규직 원전 종사자에 대한 보호대책이 시급하다”며 “원전 종사자의 고용 불안은 곧 원전 안전 불안 요소이기 때문에 비정규직 중심의 원전 인력구조가 원전 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