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차, 리콜-뻥연비에도 고공행진 계속 될까?

대체부품 외면 등 소비자보호 소홀...판매 제동 가능성도

카테크입력 :2015/07/22 14:46

정기수 기자

내수시장에서 판매 고공행진을 기록 중인 수입차업계에 악재가 겹쳤다.

수입차는 그동안 국산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효율성과 품질 면에서 월등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내 판매 볼륨을 급격히 확대해 왔다. 하지만 최근 잇따른 리콜과 연비과장 의혹이 일자 일각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수입차 성장세의 발목을 잡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기에 안방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국산차들 역시 잇따라 연비 등 상품성이 강화된 신차를 내놓고 자존심 회복을 벼르고 있어 향후 판도 변화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소형 해치백 118d(사진=BMW코리아)

22일 국토해양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혼다코리아, 재규어 랜드로버 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한국GM에서 수입·제작·판매한 차량 총 9천326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이달 들어 국내에서 리콜된 차량은 총 1만3천421대로 늘었다. 이중 국내 생산된 한국GM 차량(1천358대)을 제외할 경우 수입차의 리콜 비중은 90% 이상에 달한다.

수입차들의 리콜은 올 들어 급증하는 추세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결함신고센터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리콜 조치된 수입차는 9만17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배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산차는 약 14% 늘어난 33만5천40대가 리콜됐다.

리콜 차량 대수만 놓고 보면 수입차가 국산차의 3분의 1 정도 수준이지만, 상반기 수입차의 내수시장 점유율 비중이 16.57%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적지 않은 수치다. 이는 반기 기준 역대 최고 점유율이다. 판매량이 늘어날수록 리콜 차량도 늘어나는 모양새다. 올 1~6월 국내시장에서 수입차는 총 11만9천832대가 팔려 전년동기 대비 27.1% 신장했다.

리콜된 차종 수도 상반기 수입차는 202개로 전년동기 대비 40개가 늘었다. 국산차는 14개 차종이 증가한 20개였다.

폭스바겐 골프 1.6 TDI 블루모션 공인 연비(사진=에너지관리공단)

연비 뻥튀기 논란도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업계의 '뻥연비' 논란 이후 정부의 연비 검증이 강화되자 최근 일부 수입차들이 연비를 하향 조정하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지고 있다. 폭스바겐과 BMW 등 국내 수입차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브랜드는 물론 마니아 층이 확고한 푸조의 주요 차종들이 언급됐다.

실제 에너지관리공단에 등록된 폭스바겐 '골프 1.6 TDI 블루모션'의 연비는 ℓ당 18.9㎞에서 16.1㎞로 17.3% 낮아졌다. 푸조 '308 1.6 디젤'은 ℓ당 18.4km에서 16.2km로 13.5% 조정됐다. BMW '118d'는 ℓ당 18.7km에서 17.4㎞로 10% 가깝게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수입차업체들이 지금까지 국내 소비자들을 속여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은 차량의 엔진 등 파워트레인 변경 등에 따른 결과일 뿐, 결코 의도적으로 연비를 부풀리지는 않았다는 입장이다.

또 연비 측정이 강화됨에 따라 새로운 변수로 더해진 주행저항값이 연비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다. 여기에 도심주행 연비를 더 중요시하는 국내 측정 방식 때문에 피해를 보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온다.

실제 유럽은 연비를 산정할때 도심주행을 36.8%, 고속주행 연비 63.2%로 각각 반영한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도심주행 연비를 55%, 고속주행 연비를 45% 비율로 적용한다. 따라서 도심주행을 더 중시하는 국내에서는 유럽 측정 연비보다 떨어질수 밖에 없다.

업계 관계자는 "연비 관리가 강화되면서 수입차업체들이 본사에서 측정한 연비보다 국내에 신고하는 수치가 낮아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면서도 "연비 과장에 따른 이미지 악화를 우려해 연비 측정값 중 가장 보수적인 수치를 신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리 소비자들에게 연비 변경 사실을 고지하지 않고 논란이 일자 늑장대응에 나선 점도 아쉬운 대목으로 남는다.

■차만 팔면 그만? 수입차업체, 값싼 대체부품 외면

수입차업체들이 국내시장에서 판매 확대에만 치중한 채 소비자 권익 보호에는 소홀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수입차 수리비가 고가인 점을 시정하기 위해 도입된 대체부품 인증제도는 수입차업체들의 비협조적인 태도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BMW 530i 펜더의 순정품 가격은 44만8천원으로, 국산차인 현대차 제네시스 펜더 가격의 약 3.7배다. 올 1월부터 제도가 시행됐지만 지금까지 대체품 인증을 받은 부품은 대만 TYG 제품 1개에 불과하다.

BMW를 비롯한 수입차업체들은 공식 서비스센터에서 대체인증부품을 판매하고 않고 있다. 또 대체인증부품을 사용했다가 차량에 고장날 겨우 무상보증 기간이 남아 있더라도 무상 수리를 해주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했다.

수입차회사들이 국내 시장에서 부품판매를 통해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는 만큼, 대체부품의 활성화를 차단하려는 것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지난해 주요 수입차업체들이 자동차 판매를 통해 얻은 평균 이익률은 0.4%다. 반면 정비 매출 이익률은 11.4%에 달한다. 전체 영업이익에서 정비이익이 차지하는 비중도 56.2%에 이른다.

수입차 업체들은 아예 대체인증부품의 개발 자체도 원천적으로 막아서고 있다.

지난해 1월 국토교통부가 대체부품제를 도입하기 위해 자동차관리법을 개정 공포한 이후, 수입차업체들은 앞다퉈 디자인보호권을 신청했다. 현행 디자인보호법에 따르면 등록된 제품의 디자인을 20년간 보호하게 돼 있다. 사실상 대체인증부품을 만들 수 없게 되는 셈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달까지 토요타는 17건, BMW는 16건, 아우디는 8건의 디자인보호권을 등록했다.

관련기사

업계 관계자는 "최근 리콜, 연비과장 등 수입차를 둘러싼 논란이 잇따르고 있다"면서 "국산차 대비 비싼 가격에도 품질과 효율성 등을 앞세우며 급성장해 온 수입차 판매에 앞으로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근 차종을 막론하고 국산차 브랜드들이 효율성과 가성비를 앞세운 모델들을 내놓고 안방시장 설욕을 벼르고 있다"면서 "내수시장에서 국산차의 점유율이 급락하는 데 불과 몇 년이 걸리지 않았다. 수입차 역시 국내 소비자들로부터 외면받지 않으려면 연이은 악재에 발 빠른 대처가 요구되는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