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래시스토리지, 1~2년 후 전성기 온다"

델코리아, 기업 IT관리자 대상 설문조사 결과 발표

컴퓨팅입력 :2015/07/02 14:47

국내 기업 절반이 1년 이후 플래시스토리지 도입을 고려 중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약 4분의 1은 아직 도입 계획이 없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델코리아는 한국IDG와 함께 지난 5월28일부터 6월11일까지 2주간 기업 IT관리자 374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플래시스토리지 도입 계획 관련 설문 조사를 포함한 '2015엔터프라이즈 플래시스토리지의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2일 소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과반(50.6%)을 차지한 응답은 기업에서 플래시스토리지 도입을 '1년 이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응답 13.1%가 '이미 도입했다', 12.4%가 '1년 이내 도입하겠다', 24.0%가 '도입할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델코리아 측은 이 결과에 대해 "국내 기업 환경에서 플래시스토리지가 전성기를 맞으려면 최소 1~2년이 더 걸릴 전망"이라며 "장기적으로 플래시스토리지 시장은 낙관할 수 있다"고 풀이했다.

플래시스토리지 도입 목적에 대해서는 3명 중 1명(32.6%) 가량이 '데이터베이스' 용도, 5명 중 1명(21.0%)이 '서버가상화'를 꼽았다. 스토리지시스템캐싱(11.6%)과 가상데스크톱환경(VDI) 스토리지시스템(10.5%), 웹서비스(6.7%)와 애널리틱스(6.4%) 용도도 고려되고 있었다.

도입 방식을 묻는 항목에 '신규 하이브리드 스토리지(33.3%)' 방식, '서버에 SATA 또는 PCI 방식으로 추가(31.5%)'하는 방식, '올플래시스토리지 어레이를 도입(18.0%)'하는 방식, 기존 디스크스토리지 어레이에 플래시 계층을 추가(17.2%)'하는 방식 등의 답변이 있었다.

관련기사

델 측은 디스크대비 성능이 월등하다는 점에서 플래시스토리지가 주목받고 있지만, 성능 외에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안정성(47.9%)과 가격(16.5%)도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고 강조했다. 용량, 확장성, 기능, 브랜드 인지도 등은 1% 내외의 응답 비중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김동욱 델코리아 스토리지 영업 총괄 상무는 "적어도 1년 후에는 대부분의 기업이 플래시스토리지를 주 스토리지로 삼을 것"이라며 "델은 유연한 구성과 입증된 기술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의 플래시스토리지로 원하는 성능과 용량을 안정적으로 제공한다"고 말했다.